2024-04-28 18:55 (일)
녹색성장, ‘그린버블’ 가능성 경계해야
녹색성장, ‘그린버블’ 가능성 경계해야
  • 승인 2009.07.06 2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녹색성장이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경제 위기를 극복하고 새로운 성장동력을 창출할 수 있다는 기대감 때문이다.

 저탄소 녹색성장은 갈수록 심각해지는 환경문제를 감안할 때 선택이 아닌 생존의 문제로까지 대두되고 있다.

 정부가 6일 녹색성장의 국가정책 기본방향과 구체적 실행과제를 담은 ‘녹색성장 국가전략 및 5개년 계획’을 발표하는 것도 이러한 맥락에서다.

 녹색성장이 원활히 추진되기 위해서는 금융시스템이 받춰줘야 한다.

 정부가 5일 발표한 ‘녹색투자촉진을 위한 자금유입 원활화 방안’은 바로 녹색 기술과 기업에 투자자금이 충분히 흘러들어갈 수 있도록 ‘파이프라인’을 만들어줬다는 데 의미가 있다.

 정부는 녹색기술에 대한 연구개발(R&D) 재정지원을 올해 2조 원에서 2013년 2조 8000억 원으로 확대하고 1조 1000억 원 규모의 녹색중소기업 전용펀드를 조성한다고 한다.

 또 이자소득세가 비과세되는 5년만기 녹색 장기예금을 만들고 3년, 5년만기의 녹색채권도 발행하기로 했다.

 재정 투입과 함께 적절한 투자환경을 조성해 시중의 민간 자금을 녹색산업으로 유도해 보자는 전략이다.

 지난달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는 한국이 2011∼2017년 연평균 4.9%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잠재성장률 4% 수준을 넘는 것이다. 저탄소 녹색성장과 서비스산업 육성으로 새로운 성장 동력을 이끌어 나가겠다는 정부의 의지를 높게 평가한 것이다.

 우리 경제가 녹색성장을 통해 위기를 헤쳐 나가기 위해 녹색산업에 대한 투자를 활성화해야 한다는 데 이견이 있을 수는 없다.

 하지만 2001년 정보기술(IT) 버블 붕괴로 인한 경제적 고통을 잊은 사람은 없다.

 아직 먼 훗날의 일일 수 있지만 무분별한 녹색투자로 ‘그린버블’이 일어나지 않을 까 우려하는 것도 이러한 이유에서다.

 녹색산업 자체가 벤처성격이 강하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녹색산업도 IT처럼 기술개발과 사업화의 불확실성이 크고 장기적인 투자가 필요하다.

 막대한 시중 유동성이 실물로 이동할 경우 자칫 ‘그린버블’을 초래할 가능성도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시각이다.

 정부는 특정 기술과 사업이 진짜 녹색인지를 선별해주는 ‘녹색인증제’를 도입해 적절한 투자 대상을 가려주면 문제가 없다는 생각이다.

 하지만 완벽한 제도는 없다. 요즘 기업들은 녹색산업을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인식하고 사업 및 기업전략을 다시 짜고 있다.

 특히 한계상황에 부닥쳐 사업을 전환해야만 생존할 수 있는 중소기업들은 정부 지원에 맞춰 녹색산업에 뛰어들 태세다.

 녹색 인증을 받으면 세제 혜택, 각종 융자 등으로 자금을 동원하기가 쉽고 코스닥 등록에도 유리해질 전망이어서 큰 유인책이 될 듯하다.

 녹색산업과 녹색금융이 아직 걸음마 수준이라도 ‘그린버블’의 싹이 자라나지 않도록 유념해야 할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