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해구, 통영ㆍ거제시, 고성군
31일 지정 종료… 2차례 연장돼
실사 후 정책심의회 거쳐 결정
“꽁꽁 언 경남 경제, 언제쯤 회복될는지….” 경남도는 정부에 고용위기지역 지정 기간 연장을 강력히 요청했다고 2일 밝혔다.
고용위기 지역 연장 신청은 3번째다. 도내 고용위기지역은 창원시 진해구, 통영시, 거제시, 고성군 등 4곳이다. 이들 지역은 2018년 4월 5일 처음 고용위기지역으로 지정된 뒤 2차례 연장됐으며, 오는 31일 지정 종료 예정이다.
지역경제동향을 보면 5월 기준 경남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17.9%나 감소했다. 선박, 자동차부품, 건설중장비, 펌프, 항공기부품, 금속절삭가공기계 등 경남의 주요 수출 대부분이 부진한데 기인했다.
경남도는 이날 고용노동부가 주관한 고용위기지역 민관합동조사단 현장실사에서 지역산업의 열악한 고용 여건과 지정 기간 연장 필요성을 설명했다.
김기영 경남도 일자리 경제국장은 “올해 초 예상치 못한 코로나19 발생으로 지역경제가 어려움을 겪고 있는 만큼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고용노동부는 이날 현장실사를 토대로 고용정책심의회를 거쳐 고용위기지역 지정 기간 연장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31일 지정 종료… 2차례 연장돼
실사 후 정책심의회 거쳐 결정
“꽁꽁 언 경남 경제, 언제쯤 회복될는지….” 경남도는 정부에 고용위기지역 지정 기간 연장을 강력히 요청했다고 2일 밝혔다.
고용위기 지역 연장 신청은 3번째다. 도내 고용위기지역은 창원시 진해구, 통영시, 거제시, 고성군 등 4곳이다. 이들 지역은 2018년 4월 5일 처음 고용위기지역으로 지정된 뒤 2차례 연장됐으며, 오는 31일 지정 종료 예정이다.
지역경제동향을 보면 5월 기준 경남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17.9%나 감소했다. 선박, 자동차부품, 건설중장비, 펌프, 항공기부품, 금속절삭가공기계 등 경남의 주요 수출 대부분이 부진한데 기인했다.
경남도는 이날 고용노동부가 주관한 고용위기지역 민관합동조사단 현장실사에서 지역산업의 열악한 고용 여건과 지정 기간 연장 필요성을 설명했다.
김기영 경남도 일자리 경제국장은 “올해 초 예상치 못한 코로나19 발생으로 지역경제가 어려움을 겪고 있는 만큼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고용노동부는 이날 현장실사를 토대로 고용정책심의회를 거쳐 고용위기지역 지정 기간 연장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경남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