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8 14:38 (일)
아이 웃음소리 그친 설명절
아이 웃음소리 그친 설명절
  • 김중걸 기자
  • 승인 2024.02.14 21:3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중걸 편집위원
김중걸 편집위원

청룡의 해 갑진년 새해를 맞았다. 1월 1일 신정에 이어 구정인 2월 10일 설날을 맞으면서 2024년 새해는 온전하게 출발을 했다. 지난 3년여 동안 인류에게 큰 위해를 가하던 코로나19 감염병이 잦아지면서 인간은 일상을 점차 되찾아 가고 있다. 설 명절 연휴, 지옥과 같은 교통체증을 감내하면서도 고향길에 나서는 마음들이 여전히 살아 있는 것 같아 반갑다. 또 설 명절 나흘간의 연휴를 이용해 해외여행에 나선 여행객들로 인해 공항은 북새통을 이루기도 했다.

해마다 명절을 이용해 해외여행을 떠나는 사람들은 늘고 있다. 이를 두고 명절의 의미가 퇴색한다는 말이 나오고 있지만 새 풍속도는 시대에 따라 상황에 따라 변하고 있다. 명절날 교통체증을 피해 부모가 상경하거나, 가족끼리 해외여행을 떠나는 등 세월에 따라 명절 풍속도는 그때그때 변한다. 무엇이, 어떤 것이 정답이라고 하기는 어렵다. 삼강오륜을 논할 시대도 퇴색한 것 같고 해서 그저 그러려니 하며 치부하는 것이 속 편한 세상이다. 가족 중심이 개인 중심으로 변하면서 '설 명절 가족과 함께' 의미는 산을 넘어간 것 같다. 개인주의에 불을 지핀 것은 사회적 거리두기가 성행하던 코로나19이다. 감염병 확산을 저지하기 위해 사람 운집을 막으면서 부모 제사 참석이 제한되는 현상이 3년여간 계속되면서 각자도생이 삶의 이정표가 됐다.

명절은 가족과 함께하는 날이다. 아니 날이었다고 해야 해도 무방하다. 하나투어에 따르면 설 연휴 기간인 지난 9일부터 12일까지 출발한 해외여행 예약건수 지난해 설 연휴인 1월 21~24일 대비해 106% 증가했다. 이 같은 기세에 힘입어 외국으로 향하는 해외관광객 숫자는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회복세다. 해외여행과 함께 해외직구 역시 증가하면서 내수시장의 어려움을 호소하는 현상도 빚고 있다. 해외여행과 해외직구를 의미하는 거주자 국외 소비지출 전년동기 대비 증가율을 지난 2022년 4분기 82.0%로 80%대에 진입한 뒤 지난해 1분기 85.9%, 2분기 85.1%, 3분기 80.8%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코로나19 기간 억눌렸던 해외여행에 대한 욕구가 대거 분출되면서 이 같은 상황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에 반해 내수는 좀처럼 살아날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다.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소비지출은 1분기 8.8%에서, 2분기 4.2%, 3분기 2.6%로 점점 낮아지고 있다고 한다. 통계청 2023년 연간 산업활동동향을 봐도 재화의 소비동향을 보여주는 소매판매(불변지수)는 지난해보다 1.4% 감소했다. 이는 2003년(-3.2%) 이후 20년 만에 최대 감소 폭이다. 승용차 등 내구재(0.2%)에서 판매가 늘었지만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1.8%)와 의복 등 준내구재(-2.6%)에서 판매가 줄었다. 국내 관광 등 서비스 소비를 나타내는 서비스 생산은 0.3% 증가에 그쳤다. 한 켠에서는 내국인들이 해외소비를 늘린다면 외국인이 국내소비를 늘려야 내수가 살아날 수 있다고 말하기도 한다. 하지만 방한 중국인 관광객도 179만 3000명에 그치며 2019년(602만 3000명)의 30.0%에 머물렀다.

골목에서 아이들 소리가 들리지 않는 설 명절, 그 무엇을 기대해야 할지 모르겠다. 해외여행이든 국내 소비 등 이 모든 것의 원천은 사람이다. 저출생 시대에 괜한 걱정은 아닐까 자조해 본다. 그러나 자조만 해서는 안 되는 절체절명의 시간이 도래하고 있다. 앞으로 5년 이내에 합계출산율을 반등시키지 못하면 연간 출생하 수 30만 명대 회복도 현실적으로 어려워진다는 진단에 걱정이다.

설 명절 가뜩이나 고향보다는 해외여행을 떠나는 명절 풍속도에 행여 지역이 소멸되지나 않을까 걱정이다. 수도권 등지에서 출입국·이민청 유치전에 나서고 있다고 한다. 근본적인 출산율 높이기에 지역의 사활을 걸어야 한다. 애낳으면 1억을 준다는 기업이 등장했다. 때 마침 대통령 직속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부위원장에 주형환 전 산업통상자원부 장관도 위촉됐다.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가시적 성과에 속도를 내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