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6 09:26 (금)
통도사 대광명전서 `단청 채기` 발견
통도사 대광명전서 `단청 채기` 발견
  • 임채용 기자
  • 승인 2022.08.08 20:5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통도사 대광명전 단청기록화조사사업을 시행하던 중 발견한 `단청 채기`.
통도사 대광명전 단청기록화조사사업을 시행하던 중 발견한 `단청 채기`.

통도사 대광명전은 통도사 중로전의 중심전각으로서 보물로 지정돼 있다. 『통도사약지(通度寺略誌)』에 의하면 창건당시부터 있었던 건축물로 기록돼 있으며, 현재의 건물은 『통도사지(通度寺誌)』에 기록된 「기묘년개금탱화단확사시주기」에 전내의 후불탱화와 단청, 본존불의 개금이 지난 1759년에 조성한 것으로 기록돼 1759년 직전에 중수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번 발견은 지난달 대광명전 단청기록화조사사업을 시행하던 중 발견됐다. 단청기록화사업은 단청현황에 대한 상세한 기록과 분석자료를 확보해 고증연구와 보존 관리의 기초자료를 제공함에 목적을 둔 사업으로서, 통도사의 경우 응진전, 영산전 등의 주요전각에 대한 기록화 사업을 시행 중에 있다.

대광명전에서 발견된 채기(彩器)는 글자 그대로 물감그릇이다. 발견된 위치는 대광명전의 후불벽 고주기둥 상부의 주두 위에 얹혀진 상태였으며, 직경이 15㎝, 높이가 7.5㎝, 굽의 직경이 5.5㎝로 조선 후기 백자분청사발에 속하며, 조선 후기 막사발의 전형적인 형태를 취하고 있다.

발견 당시 그릇 안쪽에 쌓인 먼지의 상태와 담겨있던 안료의 상태 등을 고려해 볼 때, 지난 1759년에 시행된 단청 공사 당시 단청화승이 사용하던 중 고주 주두에 놓은 채로 공사를 마치고는 잊어버린 것으로 생각할 수 있으며, 단청 안료가 그대로 말라붙어진 상태로 현재까지 유존된 것으로 여겨진다. 단청용 채기의 발견은 지난 1974년 경주 월지에서 통일신라 시대의 단청용 그릇이 발견된 이후 발견된 사례가 없었으며, 그릇의 상태가 완형으로 양호하고 시대편년도 단청시공 시기인 `1759년`이라는 절대 연도를 가지고 있어 양산 지역의 도자사 연구에도 중요한 역할이 기대되는 문화유산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