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6 23:42 (금)
`시신 없는 영결식` 제주 사고 해상안전 대책을
`시신 없는 영결식` 제주 사고 해상안전 대책을
  • 경남매일
  • 승인 2019.12.22 22: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 2014년 세월호 사건 이후 해양 안전사고에 대한 대책 마련을 지적하는 목소리가 크지만, 아직도 인명 피해가 잇따르고 있다. 특히 최근 제주 해상에서 발생한 통영 선적 연승어선 대성호(29t) 화재와 창진호(24t) 전복 사고가 대표적이다.

 지난 17일 해경은 이들 사고의 실종자를 찾기 위한 집중 수색을 종료했다. 대성호 사고 28일, 창진호 사고 22일 만이었다. 앞서 해경은 함ㆍ선 총 656척과 항공기 166대가 동원해 수색에 나섰지만 결국 추가 실종자를 찾지 못했으며, 이날 경비업무와 병행하는 수색으로 전환했다. 때문에 지난 21일 `시신이 없는` 실종자 합동 영결식이 열렸다. 실종자 중 대성호 5명ㆍ창진호 1명 등 내국인 선원 6명의 합동 분향소도 통영 한 장례식장에 마련됐다. 이날 유족들은 사고를 처음 접했을 때 구조될 줄 알았는데 시신도 없이 보낼 거라고는 생각도 못 했다고 말해 안타까움을 샀다.

 세월호 사건 이후에도 해상 안전 의식은 나아진 게 없는 실정이다. 지난 1월 한국소비자원의 조사에서 구명부환을 갖추지 못한 낚싯배가 조사 대상의 90%나 됐다. 이런 사고가 터질 때마다 사회 각계각층이 정부를 지탄하며 대책 마련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지만, 개인의 안전 불감증을 해결하지 못한다면 아무리 제도적 장치를 잘 갖추더라도 사고를 막지 못한다. 정부가 지난해 구명조끼 미착용 등 7대 안전 무시 관행에 대한 대책을 내놨지만 실효성이 없었던 것도 같은 이유이다. 특히 세월호 참사를 겪고도 아직 해상안전을 망각하는 경우가 대다수인 실정이 안타깝기만 하다.

 정부는 어선 운항과 안전관리 시스템을 전반적으로 재점검하는 한편, 탑승자의 안전 의식을 높이는 데 집중해야 할 것이다. 이번 사고를 계기로 우리 사회의 안전불감증과 설마 증후군이 다시는 드러나지 않는 계기가 되길 기원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