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7 00:39 (토)
창원시 혁신의 `길` 극복할 `산`
창원시 혁신의 `길` 극복할 `산`
  • 박재근ㆍ강보금 기자
  • 승인 2019.08.11 23: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창원시 인구수는 지난 6월 말 기준 105만의 선이 붕괴돼 104만 선에 들었다. 사진은 창원시청 앞 광장 전경.
창원시 인구수는 지난 6월 말 기준 105만의 선이 붕괴돼 104만 선에 들었다. 사진은 창원시청 앞 광장 전경.

2. 인구유입 낭패, 대책은 정착하고 싶은 `매력 인프라` 만들어야

조선ㆍ자동차ㆍ기계산업, 저성장 늪에서 못 벗어나
통합 이후 줄곧 인구 줄어… 특례시 법안 국회 계류
올해부터 6개 분야 34개 세부인구사업 계획 시행
인구 100만 이상에 걸맞은 교육ㆍ행정 구축 필요
의대ㆍ로스쿨 유치 등으로 젊은 인재 붙잡아야

 창원특례시를 목전에 둔 젊은 도시 창원에 비상이 걸렸다. 창원은 경남의 수부도시로 경남=창원으로 각인됐다. 그만큼 도시의 경쟁력이 뛰어났다. 하지만 조선, 자동차, 기계산업의 메카 창원이 저성장 늪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또 우리나라에서 가장 특화된 산업, 원전과 방산업체도 정부의 탈원전 등으로 수직직하에 처했다. 때문인지, 청년들이 일자리를 찾아 창원을, 경남을 떠난 현상이 읽힐 정도다.

 일자리가 곧 최고의 복지란 말이 실감난다. 이를 가장 깊이 고민하는 것은 문턱에 걸린 특례시다. 지난달 30일 국회개원과 동시에 허성무 시장이 국회를 찾아 전혜숙 행안위 위원장과 홍익표 위원을 만나 창원시의 `특례시` 실현에 대해 논의했다. 그러나 적극적인 특례시 추진의 이면에는 `인구감소`라는 큰 고민거리가 도사리고 있다.

 특례시는 인구 100만 명 유지가 기준으로 기초단체의 특성을 유지하며 광역단체에 준하는 행정, 재정적 권한과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준광역단체 대우와 같다. 현재 이 특례시 법안은 국회에 계류 중이다.

 창원시의 인구는 지난 6월 말 기준으로 105만 명 선이 빠른 속도로 붕괴돼 104만 8천279명으로 조사됐다. 구 별로 보면, 의창구 25만 3천943명, 성산구 22만 4천107명, 마산합포구 17만 9천821명, 마산회원구 19만 6천759명, 진해구 19만 3천649명으로 나타났다.

표.
표.

 창원시는 지난 2010년 통합 이후 2011~2012년 109만 명 돌파를 끝으로 지속해서 인구가 줄어들었다.

 창원시의 자료에 따르면, 통합 이후 창원시의 인구는 연평균 약 0.54%의 규모로 감소 추세를 보였다. 창원 인구는 2011년에 1천903명이 늘었다. 이후 2012년에 410명, 2013년 7천740명, 2014년 8천563명, 2015년 5천104명, 2016년 6천157명, 2017년 6천875명이 줄었다.

 지난해에는 3천431명이 줄어 허성무 시장은 간부회의를 통해 105만을 `마지노선`으로 설정한 바 있지만 끝내, 올해 1분기에만 2천500명이 줄어 105만의 장벽이 무너져 내리고 말았다. 창원 인구의 주요 유출 지역으로는 창원시 전체 유출인구의 24.3%가 김해시로 떠나가는 것으로 조사됐다. 김해시에 이어 가장 유출된 지역은 서울이다. 이어 경기, 부산, 함안, 거제 등으로 나타났다. 창원시의 가장 큰 인구감소 요인으로는 전체의 35.9%가 직업 문제로 나타났다.

 이는 제조업의 1번지로 부흥했던 창원시의 경제가 흔들리자 타지역으로 떠나는 인구가 많아진 것으로 보인다. 이어 가족문제(학교 및 교육)가 23.2%, 주택문제가 22.8% 순이다.

 특히 유출인구 중 20~24세가 전체 유출인구의 18.2%를 차지했다. 20~39세 연령층으로 살펴보면 43.5%에 달해 주로 2030세대 젊은층의 인구 유출이 심각한 문제로 다가온다.

 이에 창원시는 6개 분야 34개 세부사업을 계획해 `창원형 인구정책 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시는 올해부터 4년간 2천568억 원(시비 1천241억 원)을 투입해 사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우선 일자리 분야로는 창원 강소연구개발특구 지정 추진과 더불어 7개 사업을 실행한다.

 주거 분야에서는 창원형 빈집관리 `창원빈집 4U` 외 5개 사업, 교육 분야로 초등학생 등하교 안심알리미 확대 서비스 외 4개 사업, 출산 및 보육 분야로 찾아가는 의료케어 `창원 I-맘 건강지킴이` 외 8개 사업, 고령화 분야로 사람중심 창원형 고령친화도시 조성 외 2개 사업, 인프라지원 분야로 부산도시철도 하단-녹산선 용원지역 연장 외 2개 사업을 계획하고 있다.

 그러나 창원시의 인구대책은 더 넓은 범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인구 100만 이상에 걸맞는 인프라 구축으로 교육, 행정, 정치, 생활 등의 면에서 경남의 중심 축이 될 수 있는 사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지방자치의 분권과 자율성도 물론 중요하지만 척추없는 생물은 갈피를 잡지 못하고 중구난방으로 흐물거릴 수밖에 없다.

 내년이면 창원시가 통합한 지 10년이 된다. 통합 이후 인구 유출을 다독일 수 있는 시민이 진짜로 필요한 인프라의 구축은 찾아보기 힘들다는 말이 나온다. 일자리 만들기도 중요하지만 약대, 의대, 한의대, 법대 등 수준 높은 교육을 충족시킬 수 있는 고등교육 기관 등의 설립 등으로 경남도민이 자리를 잡고 살고 싶어하는 창원, 경남의 축으로 도민들이 찾고, 가고 싶고 정착하고픈 창원이 될 수 있도록 하는 인프라 구축이 급선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