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7 10:01 (토)
청년들 떠나는 경남… 이대로 놔둘 것인가
청년들 떠나는 경남… 이대로 놔둘 것인가
  • 대 칼럼니스트 박재근
  • 승인 2019.07.14 21:4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조업 르네상스 시대, 장밋빛 구호 아니라면

도는 실효성 있는 대책과 액션플랜 내 놔야

프로젝트 남발, 대기업 협약 경제토론회 보다

중요한 것은 하루라도 빨리 실적을 내야

청년 위한 다양한 일자리 및 정책도 시급

 경남경제가 추락하고 있다는 사실을 증명하는 우울한 지표들이 줄을 잇고 있다. 경남도는 경제에 대한 낙관론을 피력하고 있지만, 성장 흐름의 둔화, 기업의 탈(脫)한국, 청년들마저 경남을 떠나는 등 경제 위기를 나타내는 통계만 쏟아지고 있다.

 때문인지, 조선 자동차 기계 등 경남 제조업이 기대와는 달리 장기불황으로 이어지면서 고착화되는 느낌마저 든다. 제조업 메카 경남은 전국 각지에서 일자리를 찾아 몰려든 대표적인 도시였지만 현재는 경남의 청년들이 일자리를 찾아 경향 각처로 떠나는 현실을 마주하면 경제 위기가 가중돼 경남의 쇠망으로 연결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마저 나온다. 또 인구 감소도 문제이거니와 이를 젊은 층이 주도하고 있다는 점은 심각한 일이다. 한창 일해야 할 청년들이 경남을 등지는 것은 직장을 구하지 못하거나 희망을 잃었기 때문이다. 청년들이 떠나는 도시는 활력을 잃고 경쟁력도 떨어진다. 경남도지사를 비롯한 지역 리더들은 이 같은 현상을 무겁게 받아들여야 한다.

 이 때문인지 경남도의 청년 쉼터 개설을 두고 논란이 된 것도 있었다. 도와 도의원의 시각 차이일 뿐. 의문도 아니고 답도 아니다. 도가 일자리 개설에 대한 길을 찾으려면 `솔루션을 품은 질문`에서부터 찾아야 한다. 그것이 문제 해결의 시작이다. 청년 쉼터 개설이 목표는 될지언정 `전가의 보도(傳家의 寶刀)`는 아니기 때문이다.

 경남의 청년 인구 감소가 시작된 것은 지난 2012년이다. 하지만 7년이 지나도록 이를 역전할 방안을 찾지 못했다. 하루빨리 이를 역전시키거나 줄어드는 청년들 삶의 질을 더 높일 묘안을 찾지 못한다면 감소는 가속화할 것이고 경남 위상은 더욱 추락할 것이다. 지난 5월 제조업의 생산능력지수가 10개월 연속 떨어져 1971년 통계 작성 이후 최장기간 하락했다. 이 여파로 제조업 취업자 수는 6만6천 명 감소해 통계 작성 후 최장인 15개월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다. 청년층과 30ㆍ40대 실업률이 갈수록 높아져 상황이 더욱 심각하다. 15~29세 청년층 실업률은 10.4%로 전년 대비 1.4%포인트 급등했고 청년층 확장실업률은 24.6%로 사상 최고 수준으로 나타났다.

 20년 만에 실업자가 최대치를 기록한 것은 제조업 몰락 탓이다. 창원의 공장 가동률, 생산, 투자, 소비 등 모든 지표는 전국 평균 이하로 추락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주력 산업 패러다임 변화에 더해 중국 제조업의 추격, 미ㆍ중 무역전쟁, 탈(脫)원전, 조선업 쇠퇴, 최저임금 인상, 수출 경쟁력 저하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탓이다.

 이 같은 상황에도 경남도가 근본 원인을 찾아내 해결하기는커녕 `제조업 르네상스` 시대를 열겠다고 한다. 경남이 제조업 메카였던 만큼, 그 영광을 되찾겠다는 것은 옳다. 하지만 이대로라면 경남도의 제조업 르네상스 시대 구현은 공허한 장밋빛 구호가 되기 십상이다. 일자리 창출 정책이 한계에 다다른 사실은 청년층 체감실업률이 역대 최고치로 높아진 사실만 봐도 알 수 있다. 정부가 고용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기업이 투자ㆍ생산을 늘리도록 의욕을 자극하고 규제를 푸는 길뿐이다.

 도가 주도해 정부가 실효성 있는 대책과 액션 플랜을 내놓도록 해야 한다. 현재의 반기업 정책도 확 바꿔야 한다. 각종 규제를 해제하고 노동ㆍ교육ㆍ구조 개혁으로 제조업을 되살려야 한다. 청년들의 탈 경남은 일자리 때문이다. 경남을 떠나는 10명 중 3.4명꼴로 `직업`을 전출 이유로 꼽고 있다. 경남 청년(만 19~34세)은 2015년 67만 명, 2016년 65만 6천 명, 2017년 63만 8천 명, 2018년 61만 8천 명으로 줄었다.

 경남도가 각종 정책을 쏟아 내고 있지만, 구원(일자리)의 열쇠라는 보장은 어디에도 없다. 청년 쉼터도 그렇지만 결론은 일자리다. 지난해 국감 자료를 보면 경남지역 1인당 연평균 급여는 전국 평균 3천383만 원을 밑돌았다. 일자리도 없고 기껏 찾은 일자리도 변변찮으니 경남을 떠나는 것이다. 따라서 경남도는 `신경제지도`니 `제조업 르네상스 시대`니, 혁신성장ㆍ혁신경제니, 세계적 프로젝트니, 협약체결이니, 동반성장이니, 상생이니, 떠들 일이 아니다. 하루빨리 제대로 된 실적을 내놓아야 한다. 그렇잖다면 모양내기이고 공허함만 더할 뿐이다. 이마저 여의치 않다면 청년들이 경남에 머무르도록 젊은이들의 삶의 질을 높일 방안이라도 찾아야 한다. 목표에 그칠 거창한 플랜보다는 태산불사토양(泰山不辭土壤), 태산은 한 줌의 흙도 사양하지 않는다. 경남상황이 급박한 만큼, 대ㆍ소 업체를 가릴 여유가 없다. "답"은 일자리 창출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