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6 14:18 (금)
이제는 생존율ㆍ환경적응이 문제
이제는 생존율ㆍ환경적응이 문제
  • 박재근ㆍ김희덕 기자
  • 승인 2019.05.22 23: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위치추적기ㆍ가락지 부착해 실시간 관찰 다친 경우 천연기념물 치료센터서 치료
22일 방사돼 하늘을 날고 있는 따오기.
22일 방사돼 하늘을 날고 있는 따오기.

 22일 동심의 상징, 따오기가 멸종된지 40년 만에 자연의 품에 안겼다. 이제부터는 창녕 우포늪 일원에 방사된 따오기가 자연에서의 생존 가능성이 관심사다. 문제는 방사 이후 환경적응에 따라 생존율은 크게 달라질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 경남도와 창녕군은 한반도에서 멸종된 지 40년이나 된 따오기를 자연의 품으로 돌려보낸 의미도 중요 하지만, 복원 기술력과 전문 인력이 전무한 상황에서 복원ㆍ증식에 성공한 점도 성과로 꼽힌다. 하지만 생존율 향상을 위한 지원대책은 시급하고도 중요하다.

 이는 중국이나 일본의 경우, 방사한 따오기의 특성상 방사지역에서 멀리 떠나지 않는 성향이 있다는 것에서 보호 관리가 필수적이란 것이다. 또 생존율이 40%가량인 것에서 정착 지원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지난 2008년 한중 정상회담 당시 후진타오(胡錦濤) 중국 국가주석이 기증했으며 2013년에는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수컷 두 마리를 추가 기증했다. 10년 넘게 복원에 심혈을 기울인 결과 따오기는 4마리에서 363마리로 늘며 어느 정도 성공적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특히 이번 복원으로 우리나라는 중국, 일본에 이어 세 번째로 따오기 인공부화에 성공한 나라가 됐다. 한반도에서 멸종된 지 40년이나 된 따오기를 자연의 품으로 돌려보낸다는 의미는 물론 복원 기술력과 전문 인력이 전무한 상황에서 복원ㆍ증식에 성공한 점도 성과로 꼽힌다.

 이를 바탕으로 한반도에서 사라진 더 많은 생물 복원 노력도 이어질 수 있다. 이번에 방사된 따오기 40마리는 암수 비율과 어미ㆍ새끼의 비율을 적절히 고려해 선별했다.

 이들 따오기는 3개월간 비행훈련, 대인ㆍ대물 적응 훈련, 먹이 섭취 훈련, 울음소리 적응 훈련 등을 받았다.

 창녕군은 따오기의 성공적인 야생 적응을 위해 지난 2010년부터 우포늪 일대 국유지에 따오기 먹이터와 숲을 따로 조성할 정도로 큰 노력을 들였다. 또 방사된 따오기에 위치추적기(GPS)와 가락지를 부착해 실시간 위치를 파악하며 매일 관찰할 예정이다.

 질병에 걸리거나 다친 따오기는 올 12월 창녕 장마면에 완공되는 천연기념물구조ㆍ치료센터에서 구조ㆍ치료한다. 이처럼 오랜 기간 정성을 쏟아 복원에 성공한 따오기를 야생 방사했으나 과제도 남아 있다.

 까치 같은 천적이 많아 번식이 힘들고 농약이나 서식지 파괴로 생존 여건도 나빠 우리나라를 떠날 것이라는 우려가 있다.

 일본에서 복원ㆍ방사된 따오기처럼 철새 본능을 잃고 방사되는 우포늪 인근에서만 머물거나 상당수 폐사할 가능성도 있다. 일본에서는 지난 2008년부터 지금까지 19차례 방사했는데 3년간 생존율은 40% 수준에 불과했다. 창녕군 우포 따오기복원센터에서 방사한 따오기 40마리는 멸종위기 야생동물 2급이자 천연기념물 제198호다. 그간 우리나라 하늘에서 찾아볼 수 없었지만 우포늪을 찾아 따오기를 관찰할 수 있다.

 황새목 저어새과에 속하는 조류로 몸길이는 약 75㎝이며 백색 또는 회색을 띠고 있으며 논과 같은 습지에서 주로 먹이를 찾는다. 비교적 행동이 느리고 주로 사람들의 생활 범위 안에서 활동해 과거 손쉬운 사냥감 중 하나였다. 여기에 더해 호수ㆍ하천 습지 개발이나 환경오염으로 인한 서식지가 파괴되며 우리나라에서 개체 수가 급감했다.

 이전에는 토템 신앙 소재로 이용됐을 만큼 과거 농촌에서 쉽게 관찰되며 따오기 관련 동요가 1920년대 만들어질 정도로 친근한 종이었다.

 그러나 1979년 파주 비무장지대에서 국제두루미재단의 조지 아치볼드 박사가 관찰한 것을 끝으로 자취를 감췄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