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6 17:21 (금)
합천군이 사라진다?
합천군이 사라진다?
  • 강민정 기자
  • 승인 2018.08.13 23:3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소멸위험 지역'... 저출산·고령화 원인
고용정보원 분석...5년 전보다 14곳 늘어

   저출산·고령화로 인구가 줄어들면서 사라질 위기에 처해지는 농촌지역 기초단체가 늘고 있다. 또 이 같은 현상은 지방의 대도시 권역까지 확산되는 것으로 조사돼 대책마련이 절실하다.

 13일 한국고용정보원의 고용동향 브리프 7월호에 실린 이상호 연구위원의 '한국의 지방소멸 2018'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6월 기준으로 전국 228개 시·군·구 중 '소멸위험 지역'은 89곳(39.0%)으로 조사됐다.

경남에서는 합천, 거창, 함양, 산청, 의령, 창녕, 함안, 밀양, 하동, 고성, 남해 등 11개 지역이 소멸 위기 기초단체다. 특히 합천군은 전국에서 네 번째로 빨리 사라질 것으로 조사됐다.

이 연구위원은 한 지역의 20∼39세 여성인구를 65세 이상 고령인구로 나눈 값인 '소멸위험 지수'가 0.5 미만인 곳을 소멸위험 지역으로 분류했다.

가임여성 인구가 고령인구의 절반에도 못 미칠 경우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인구감소로 지역 공동체가 사라질 수 있다고 본 것이다.

이는 소멸위험 지수는 국가통계 포털의 주민등록 인구통계를 토대로 산출됐다.

전국에서 소멸위험 지수가 가장 낮은 곳은 경북 의성(0.151), 전남 고흥(0.161), 경북 군위(0.169) 순이었으며 경남의 합천(0.171)이 4위를 차지했다. 이들 지역은 전국 평균(0.91)에 크게 못 미쳤다.  광역시·도별로는 전남(0.47)이 0.5에 미달했고 경북(0.55), 강원(0.58) 등이 낮은 수준이었으며 경남은 0.76으로 중위권을 차지했다.  서울(1.09), 경기(1.18), 인천(1.15) 등 수도권과 세종(1.59), 울산(1.23), 대전(1.18), 광주(1.13) 등 주요 도시는 1을 넘었다.

소멸위험 지역으로 분류된 시·군·구는 2013년 7월 기준으로 75곳이었으나 5년 만에 14곳이 더 추가됐다.  올해 소멸위험 지역에 추가된 곳은 강원 철원(0.480)과 부산 중구(0.491), 경북 경주(0.496) 및  김천(0.496) 등지였다.  경남 사천(0.507)과 전북 완주(0.509)의 경우 올해 내 소멸위험 지수가 0.5 아래로 떨어질 것으로 전망됐다.

이에 대해 고용정보원은 "지방소멸의 바람이 농·어촌 낙후 지역을 넘어 지방 대도시 권역 및 공공기관 이전이 진행되는 거점 지역까지 확산하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분석했다.

전국 3천463개 읍·면·동 가운데 소멸위험 지수가 0.5에 못 미치는 곳은 1천503곳(43.4%)으로 조사됐다. 이는 2013년의 1천229곳보다 274곳 늘어난 규모다.

이 연구위원이 2013∼2017년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터로 인구 이동을 분석한 결과, 소멸위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 읍·면·동에서 실제 26만 2천명의 인구 순유출이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순유출 인구는 20대가 17만 명으로 가장 많았고 30대(10만 9천명)와 10대 이하(6만 3천명)가 뒤를 이었다. 인구 유출이 30대 이하 젊은층에 집중된 것이다. 20대 순유출 인구 중 수도권으로의 이동은 37.4%를 차지했다. 50대의 경우 소멸위험 읍·면·동으로의 순유입 인구가 6만 6천명이었다.

이 연구위원은 "최근 소멸위험 지역은 도청 소재지와 산업도시, 광역 대도시로 확산하는 양상"이라며 "지방 제조업의 위기는 지역 산업 기반을 붕괴시키면서 지방의 인구 유출을 재촉했다"고 지적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