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6 22:39 (금)
길 잃은 도내 치매노인 연 300명
길 잃은 도내 치매노인 연 300명
  • 김용구 기자
  • 승인 2017.06.11 21:5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실종신고 증가 추세 하동ㆍ고성 잇단 사망 배회감지기 등 미흡 사회안전망 구축을
 고령화 현상으로 치매 환자가 늘어나면서 경남에서 노인 실종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배회감지기 보급률은 2~3%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나 대책이 요구된다.

 지난 2월 하동군 한 야산에서 A(84)씨가 숨진 채 발견됐다. 치매 질환을 앓고 있던 A씨는 지난해 3월 진주에서 실종됐다.

 당시 경찰과 소방당국 등이 대대적인 수색에 나섰지만 찾지 못하다가 1년여 만에 싸늘한 주검으로 발견됐다.

 이에 앞서 지난해 12월 16일에는 고성군 한 마을로부터 10㎞가량 떨어진 산에서 B(71ㆍ여)씨가 숨져 있는 것을 소방서 인명구조견이 발견했다.

 당시 B씨의 딸 등이 전날 오전 1시께 “치매를 앓는 어머니가 14일 오후 9시께 집을 나간 뒤 귀가하지 않았다”며 경찰에 신고, 수색에 나선 경찰과 소방당국은 얇은 점퍼 차림에 슬리퍼를 신은 채 숨져 있는 B씨를 찾았다.

 경찰 관계자는 “B씨는 예전에도 한 번 실종된 적이 있었다”며 “치매 진단을 받지 않았더라도 노인들 중에는 순간적으로 치매 증세를 보여 집을 나가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이 같은 도내 치매 질환 노인 실종 신고 건수는 지난 2014년 277건, 2015년 313건, 2016년 300건 등으로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

 3년 사이 실종 전력이 있는 치매환자 중 30%가량이 2차례 이상 실종됐으며 이 가운데 22명은 목숨을 잃은 채 발견됐다.

 이동 경로를 예측하기 힘든 치매 노인을 찾기 위해 투입되는 경력도 상당하다.

 실종 신고가 접수되면 경찰은 형사ㆍ기동타격대 수십여 명을 투입하고 드론까지 동원하며 수색을 벌인다.

 정부는 실종 치매 노인 문제 해결책으로 배회감지기ㆍ인식표 보급 등 대책을 내놓고 있지만 치매 노인의 실종을 예방하기에는 여전히 미흡하기만 하다.

 치매 노인이 배회감지기를 휴대하면 보호자는 휴대전화로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노인이 지정된 구역을 벗어나면 알림 문자를 보호자에게 발송하는 방식이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으로 도내에서 배회감지기를 사용하는 65세 이상 노인은 1천여 명으로 파악된다.

 하지만 같은 해 주민등록인구 기준으로 추정되는 도내 치매환자 수는 5만 1천196명으로 보급률이 2~3% 불과하다.

 모든 치매 노인에게 배회감지기가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실종 치매 노인이 갈수록 급속히 늘어나는 것을 고려할 때 여전히 부족한 상황인 것이다.

 A씨를 비롯해 집을 나갔다가 숨진 채 발견된 치매 노인 대부분은 배회감지기나 인식표를 착용하지 않았다.

 도내 한 치매센터 관계자는 “치매는 가족의 문제가 아닌 사회문제로 보고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며 “배회감지기 보급률을 높이는 등 사회 안전망 구축이 시급한 실정”이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