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7 13:31 (토)
교복값, 안일한 교육행정이 높인다
교복값, 안일한 교육행정이 높인다
  • 허균
  • 승인 2012.02.09 20:4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허 균사회 부장
 신학기 철이 다가오면서 중ㆍ고교 교복 가격이 이슈가 되고 있다. 본지는 최근 경남도내 교복가격이 타 시도에 비해 턱없이 비싸다는 기사를 기재했다.

 9일 경남교육청에 따르면 교복시장의 약 85%를 차지하고 있는 4대 교복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파악한 결과 창원과 김해ㆍ진주 등 도내 주요지역 학교의 동복 가격은 20만 원 중ㆍ후반 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에서 평균 교복값이 가장 저렴한 곳은 수원시다. 교복 중 가장 높은 가격이 책정돼 있는 동복의 경우 수원시의 평균가격은 13만 원 안팎이다. 확인한 결과 도내 동복 기준 교복 한 벌 값은 25만 원을 훌쩍 넘는다. 일부지역 중ㆍ고교 신입생들이 교복 물려 입기, 공동구매 등의 방법으로 이보다 더 낮은 가격에 교복을 구입하고 있다. 하지만 대다수 도내 신입생 학부형이 교복을 구매하면서 지불하는 금액은 25만 원이 넘고 있다. 여기에 바지와 치마ㆍ셔츠 1벌을 추가하고 체육복까지 구매하다 보면 30만 원 이상의 금액이 사용된다.

 도내 학부형들의 교복 구매 비용이 타 시도에 비해 높게 책정돼 있는 것은 공동구매 비율이 낮다는 데서 이유를 찾을 수 있다. 도내 교복 공동구매 비율은 35%를 채 넘기지 못한다. 타 시도에 비해 교복 공동구매 비율이 절반 수준이다.

 그러면, 왜 도내 학부형들은 교복을 공동으로 구매하지 않을까? 취재를 하며 교육당국의 안일한 대처가 도내 학부형들의 교복 공동구매를 막고 있는 것을 알게 됐다. 보통 중ㆍ고교 신입생 자녀를 둔 학부형들은 자녀가 중학교나 고교에 배정된 이후 교복을 구매하게 된다. 도내 일부 학교가 교복 공동구매를 추진하고 있지만 이미 교복을 구매한 이후 학교의 공동구매 소식을 접하기 때문에 공동구매 참여가 어렵다.

 김해시 관내 대부분 중학교는 3월 2일 입학식을 가진다. 교육당국이 교복 공동구매에 만만디 모습을 보이는 것은 신입생들의 교복 입는 시기가 학교마다 제각각이라는 것에 기인한다. 일부 학교는 입학식에 신입생들이 교복을 입어야 하지만 일부 학교는 동복을 입어야 하는 3월과 4월 신입생들의 교복 착용이 자율이다. 신입생 교복 착용이 3월과 4월 자유로운 학교는 이 기간 동안 교복을 입어도 되고, 평상복을 입고 등교를 해도 무방하다는 것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학부모와 학생들이 각 학교의 지침을 알 수 없기에 교복을 구입하는 시기는 학교 배정을 받은 직후다. 하지만 교복을 구입하지 않아도 되는 교육당국은 현실을 외면하고 있다.

 두 자녀 이상을 둔 가정이 드물기에 그나마 학교의 이 같은 행태를 경험한 고교 입학생들의 교복 공동구매가 중학교 신입생의 공동구매보다 비율이 높은 것도 이 때문이다.

 물론, 현행 학교법에 교복 공동구매와 관련해 일선학교나 지역교육청이 왈가왈부 할 수 없다. 돌이켜 보라. 교복 가격이 천정부지로 치솟자 교육당국과 일선학교가 공동구매에 혈안이 됐을 시기가 있었다. 하지만 교복판매 업자와 교육관계자들의 커넥션이 발견됐고 이 때문에 교육당국이 학생들의 교복 공동구매 일선에 서지 못하는 것 아닌가. 학교가 학생들의 편이 돼 교복가격을 내리기 위한 선봉장이 되지 못하는 것도 교육당국의 부끄러운 자화상 아니던가.

 일선학교와 경남교육당국은 행정을 위해 일할 것이 아니라 제발 학생들과 학부모의 입장에서 일하는 모습을 보여주길 바란다.

 교복구매와 관련해 일선 교육청과 관내 일부 학교에 취재를 하면서 교육당국의 문제점은 쉽게 발견됐다. 기자는 교복가격과 관련한 기사작성을 위해 김해교육청과 김해 관내 수 개 학교에 문의를 했지만 대부분 담당자는 출장으로 인한 부재중이었고 연락처를 남기고 전화를 기다렸지만 한 곳도 연락 오는 곳이 없었다.

 도 교육청은 매년 전화친절도 등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고 친절도가 우수한 학교를 선정해 포상을 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 전화예절은 친절히 전화를 받는 것에 끝나지 않는다. 부재중인 담당자의 전화를 대신받았다면 내용을 전달해야 할 것이고 내용을 전달받은 담당자는 어떤 식으로든 연락을 취해야 하는 것이 전화예절의 기본 아닌가. 기자의 취재와 관련한 전화도 홀대하는 교육관계자가 학부형 등 민원인들의 전화를 거들떠나 보겠는가. 교복 가격에 대한 교육당국의 대처도, 전화예절도 낙제점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