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8 02:01 (일)
생존 위협받는 경남 건설업계 진단
생존 위협받는 경남 건설업계 진단
  • 박재근 기자
  • 승인 2009.01.13 2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외지업체에 밀려 ‘빛 좋은 개살구’
지역 발주 공사마저 70% 가량 잠식당해 ‘휘청’
기성액 전국의 4.3% 불과, 경제규모 3위 무색
 경남의 경제규모는 전국 3위인 반면, 건설공사 기성금액은 전국의 4.3%, 업체 평균 기성금액은 13위가 현주소다.

 또 도내에서 발주한 공사마저 70% 가량을 외지업체에 잠식당하고 있다.

 정부의 4대강 살리기 사업 등 대규모 토목공사로 활성화가 기대되나 현 상태로는 경남의 건설업계는 빛 좋은 개살구 격이다.

 이에따라 지역업체들은 생존마저 위협받고 있는 지역 건설업계를 살려달라며 정부와 경남도에 호소하는 등 긴급 신호를 보내고 있다.

 ◇ 형편없는 기성ㆍ수주실적 = 건설업체들이 공사 후 정산한 실적인 기성(旣成)실적은 2007년 전국 1만 2842개사 기성액 125조 4245억 원 가운데 경남의 1210개사(9.4%)는 4.3%인 5조 4839억 원에 그쳤다.

 업체수 1919개사인 서울은 기성액 56조 2003억 원으로 전국의 44.8%로 1위, 경기 2494개사는 20조 5733억 원으로 16.4%, 전남 992개사는 7조 9309억 원으로 6.3%, 경북 1025개사는 6조 4213억 원으로 5.1% 등으로 경남은 5위의 비중을 차지했다.

 그런데 서울은 업체수가 적은 반면 기성액 규모가 커 업체당 평균은 무려 292억 9000만 원, 513개사가 4조 3949억 원의 기성 액을 보인 인천 85억 7000만 원, 경북 84억 4000만 원인데 비해 경남은 45억 3000만 원에 머물러 13위에 그치고 있다.

 특히 안방인 경남에서 2006년 발주된 8조 5786억 원의 공사 가운데 도내 업체 수주액은 2조6041억 원으로 외지업체 잠식률은 69.64%, 2007년은 67.0%를 잠식당했다.

 ◇ 업체 수 ‘과다’ㆍ시장 구조 왜곡 = 국내 건설시장은 서울ㆍ경기의 4413개사(34.4%)가 전체 물량의 61.2%를 차지하고 있을 정도로 수도권, 1군 업체들의 비중이 큰 반면 대부분의 시ㆍ도는 1∼6%씩 시장을 나눠먹고 있는데 그치고 있다.

 따라서 지방건설업계와 지방자치단체는 지역의무 공동도급이나 지역제한 공사 범위 확대를 건의하고 있다. 그러나 특히 경남의 경우 업체수가 과다, 내부에서부터 과당경쟁을 벌이는 등 시장 구조가 왜곡돼 있는 것이 더 큰 문제다.

 경남의 건설업체수는 일반(종합)건설업체의 경우 1988년 36개사에 불과했다가 1997년 시장(면허) 개방후인 1999년에 425개로 12배 정도로 급증했고 ‘매미’와 ‘루사’ 등 태풍과 집중호우 피해 복구공사를 거치면서 지난해에는 32배인 1162개사로 늘어났다. 같은 기간 전문건설업체는 67개사에서 2910개사로 20년 만에 43배로 증가했다.

 건설시장 개방으로 인한 업체수 증가는 기존 업체들이 공사 낙찰률을 높이기 위해 계열사들을 줄줄이 설립한 것이 난립의 원인으로 기존 모기업이 설립한 계열사가 많은 곳은 3∼5개사까지인 업체도 있다. 수해복구 공사 등 특수요인의 발생으로 버티면서 적격심사나 수의계약으로 나오는 관급공사를 따내기 위해 영업을 계속하고 있다는 것.

 문제는 건실한 중견기업들이 전문 업체들과 협력, 일자리를 창출하고 지역경제를 견인해야함에도 불량업체를 걸러내는 장치가 전무, 우량기업들도 숨통이 막힌다는 주장이다.

 여기다 1군 업체는 전국 130개사 가운데 도내에는 6개사에 불과하고 그나마 두산중공업과 STX건설 등은 자체 사업이 많은 편이며 아파트 건설을 주로 하는 곳까지 빼면 외지에 진출해 대규모 토목공사를 수주할만한 업체는 1∼2곳에 불과하다는 것도 한계다.

 ◇ 건실한 지역 업체 살릴 길 = 우선 지역건설업계의 파이를 키우기 위해 대기업, 수도권 편중의 건설시장 구조를 재편하는 것이 급선무다. 또 지역의 건실 업체들이 성장할 수 있는 토양조성과 ‘한 건’을 노리는 업체의 퇴출도 요구된다.

 경남업체의 평균수주액은 2002년만 해도 전국 평균 67억 원의 62.7%인 42억 원까지 근접했지만 2006년에는 전국평균 84억 원의 39.3%인 33억 원으로 편차가 더 확대되고 있다. <박재근 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