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9 03:34 (월)
생명공학과 바이오에너지의 미래
생명공학과 바이오에너지의 미래
  • 손수인
  • 승인 2013.01.07 18:3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손 수 인 국립농업과학원 생물안전성과
 식물 또는 식물 유래 자원 등을 열분해하거나 발효시키면 메탄 또는 에탄올, 수소와 같은 액체ㆍ기체의 연료를 얻을 수 있는데 이러한 에너지를 통틀어 바이오에너지라 한다. 이를 생산하기 위해서 옥수수, 보리, 콩과 같은 곡물이나 나무, 볏짚, 사탕수수 등의 식물이 이용된다. 바이오에너지는 이들의 당분을 발효시켜 만드는 바이오에탄올과 대두유, 팜유, 폐식용유 등에서 식물성 기름을 추출해 만드는 바이오디젤이 있다. 바이오에탄올은 휘발유에, 바이오디젤은 경유 연료에 섞어 사용할 수 있어 차량 연료 대체에너지로 활용되고 있다.

 2050년까지 에너지 수요는 50%까지 증가하리라고 예측되고 있으며 최대수요자는 개발도상국이 될 것이다. 지금 사용되는 대부분의 에너지는 화석연료로서 사용량이 한정적이고 재생이 불가능하며 오염원이 된다는 단점이 있다. 브라질은 바이오에너지의 세계선구자로서 운송에 사용되는 연료의 30%가 바이오메스로부터 유래한 것이다. 게다가 많은 국가들은 운송을 위해 바이오연료를 도입하고 있다. 이는 오일 수입의존도를 낮추고 농촌 발달을 가속화시킬 수 있으며 농민들에게 또 다른 수입원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여러 국가들이 운송에 사용되는 바이오연료의 비중을 증가시키려고 한다. 미국은 2025년까지 바이오메스 유래 에너지로 석유의 30%를 대체하려는 계획을, 인도는 2012년까지 5%로부터 20% 까지 바이오연료의 비중을 높이는 계획을 가지고 있다.

 바이오연료의 장점은 탄소중립형이라는데 있다. 바이오연료가 연소되는 과정에 방출되는 이산화탄소는 일차적으로 바이오메스 생산동안 광합성을 통해 대기로부터 제거되고, 결과적으로는 제로수준의 순 온실가스 방출을 야기한다고 볼 수 있다. 바이오연료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방출을 감소시키는데, 이는 에탄올이 첨가된 가솔린 혼합물은 산화로 완전 연소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바이오연료는 생분해가 될 수 있고 유해하지 않기에 바이오연료의 유출은 화석 디젤의 유출보다 덜 위험하다.

 바이오연료의 비용은 에너지가 어떤 작물에서 유래했는지와 얼마만큼의 자원이 바이오연료의 생산과 배분에 필요한가의 관점에서 평가되어져야 한다. 에너지 작물의 생산은 토지, 비료, 농기계를 필요로 하고 바이오연료의 발효와 증류는 바이오메스와 물을 필요로 한다. 오레곤 주립대학의 경제전문가들은 바이오연료에 대한 정부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얼마나 많은 비용이 필요한가와 화석연료에 어떠한 영향을 줄 것인가를 검토했다, 미국의 재생 연료 표준 프로그램(Renewable Fuel Standard:RFS)은 2020년까지 수송 분야 연료로서 옥수수 에탄올, 바이오디젤, 목질계 바이오연료 등이 화석연료 사용을 최대 2.5%까지 줄일 수 있다고 보고했다. 그러나 이것은 바이오연료의 생산증가에 따른 추가적 불안요소인 물 사용, 공해, 식량가격폭등 등의 영향에 대해서는 고려하지 않았다고 한다.

 미농무부에 의하면 바이오연료로 현재 운송연료의 30%를 대체하려면 매년 10억t(건조중)의 바이오메스가 필요하다고 예측했다. 미농무부 연구에 따르면 생명공학의 발달로 2050년까지 이와 같은 정도의 바이오메스가 생산이 가능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바이오메스는 대부분 작물 수확 잔존물이나 다년생 에너지 작물로부터 유래한다. 생명공학의 도전은 따라서 이들 작물의 생산량을 상당량 증가시키거나 또는 에너지 생산에 효율적인 화학적ㆍ물리적 특성을 가진 작물을 개발하는 것이 될 것이다.

 단백질과 DNA에 있어서 기본적 요소인 질소의 대사와 관련된 유전자조작은 성공적 사례 중의 하나이다. 포플라에서 글루타민 합성 유전자의 과발현은 나무의 키를 상당이 많이 증가시켰다. 또 다른 전략은 식물의 성장기를 연장시키거나, 종자휴면을 감소시키는 것 또는 개화기를 늦추는 것과 같은 연구를 도입할 수도 있을 것이다.

 환경스트레스는 평균 작물 생산량을 50% 이상 감소시키는 주요인이다. 해충이나 병원균도 역시 작물 생산을 감소시키는 원인이다. 이와 같은 스트레스에 저항성인 작물을 개발하는 것은 작물 생산량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이며 해충저항성 옥수수는 이와 같은 성공사례의 한 예라고 할 수 있다.

 셀룰로오스와 리그닌의 합성은 동시에 조절되기 때문에 리그닌의 비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면 셀룰로오스의 생산량을 늘릴 수 있다. 또 다른 전략은 세포벽 재질의 변화를 예로 들 수 있는데, 주요 가수분해 물질의 세포벽 접근을 용이하게 해 세포로 하여금 발효를 위한 당의 배출을 좀 더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생명공학 기술을 이용한다면 바이오연료는 세계 식량 생산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현재 운송수단 에너지의 30%를 대체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로서는 바이오연료가 경제적으로 경쟁력이 있다고 볼 수는 없다. 바이오연료가 향후 대체에너지로서 에너지 요구를 충족시키려면 생물학자, 농업학자, 엔지니어, 에너지 전문가, 정책 전문가의 통합적 활동이 요구된다. 사회 경제학자들은 바이오연료를 사용하였을 때 토지 관리나 바이오메스 작물의 선택이 바이오연료 생산을 위해 신중히 결정되어야 할 사항이라고 한다. 또한 이는 식량생산과 생물다양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쳐서는 안될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