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9 08:44 (월)
5ㆍ18정신 화석화돼선 안 된다
5ㆍ18정신 화석화돼선 안 된다
  • 김동출 기자
  • 승인 2010.05.19 21:1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5ㆍ18민주화운동이 일어난 지 30년이 흘렀다.

 광주 국립 5ㆍ18민주묘지에서는 18일 5ㆍ18민주화운동 30주년 기념식이 열렸다.

    당시 신군부에 맞서 민주주의를 지키려다 스러진 민주 영령들을 위로하는 듯 이날 기념행사가 열린 전국 곳곳에는 비가 내렸다.

 정부가 5ㆍ18민주화운동 기념일을 법정 기념일로 정해 공식 행사를 해온 것이 올해로 14년째다.

 하지만, 올해 정부가 주관한 공식 기념식은 반쪽행사로 끝났다. 5ㆍ18 관련단체들을 주축으로 구성된 5ㆍ18기념행사위원회가 5ㆍ18 구묘역에서 별도의 기념식을 했기 때문이다.

 5ㆍ18 민주화운동 공식 기념식의 추모곡으로 불려온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 순서를 뺀 데 반발해서라고 한다.

 화합과 소통의 자리가 되어야 할 기념식이 두 쪽으로 나뉘어 진행됐다니 무척 아쉽고도 안타까운 일이다.
 5ㆍ18민주화운동은 사상자와 행방불명자에 대한 공식 집계가 이뤄지고 피해자 보상을 위한 법률이 제정되는가 하면 핵심 가해자들이 법적 처벌을 받는 등 30년이라는 긴 세월이 흐르면서 겉으로는 상처가 어느 정도 아문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또 우리나라 민주화의 초석을 놓았을 뿐 아니라 나아가서는 아시아 전역의 민주화에도 밑거름이 됐다는 평가를 받고 있기도 하다.

 하지만, 5ㆍ18민주화운동이 지향했던 민주, 인권, 평등, 평화 등의 보편적 가치가 충실히 구현됐다고 이 시점에서 자신 있게 말할 수 있는 사람은 그다지 많지 않을 것이다.

 그만큼 아직 완수하지 못한 과제와 과업이 산적해 있다고 할 수 있겠다.

 우선 5ㆍ18민주화운동의 역사와 정신이 화석화돼가는 것은 아닌지 30주년을 계기로 모두가 겸허하게 되돌아봤으면 하는 마음 간절하다.

 광주라는 도시에만 국한됐던, 그저 ‘흘러간 사건’이 아니라 그 참뜻이 모든 국민의 마음에 뚜렷이 각인돼 항시 새로운 느낌으로 되살아나야 하지 않을까.

 그러려면 5ㆍ18정신을 혹여 광주라는 특정 지역에 가둬놓아서는 안 되고 ‘전국화’를 이뤄야 한다.

 이는 5ㆍ18에 관한 교육이 절실히 필요한 이유이기도 하다.

 광주시교육청이 5ㆍ18민주화운동 30주년을 맞아 관내 학교에 5ㆍ18 인정교과서를 늘려 보급한다고 하지만 이 정도로는 미흡하다.

 다른 지역으로도 확산하려는 노력이 뒤따라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또 하나는 해마다 기념일만 되면 되풀이되는 얘기지만 5ㆍ18의 진상을 완벽하게 규명하려는 체계적인 작업을 결코 게을리해서는 안 된다는 점이다.

 정부 당국의 확고한 의지가 필요한 대목이라고 여겨진다.

 아울러 5ㆍ18과 관련해 국가의 불법행위로 피해를 봤으면서도 법적 공방이 끝나지 않아 지금도 노심초사하는 사람들은 없는지를 살펴 인고의 세월을 보상받도록 해야 할 것이다.

 그 뿐만 아니라 5ㆍ18 부상자와 구속자, 사망자의 유족 가운데 정신적 후유증으로 아직도 고통받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고 하니 이들도 따듯한 시선으로 감싸 안아야 한다.

 이명박 대통령은 정운찬 총리가 대독한 기념사를 통해 “5ㆍ18민주화운동의 정신은 오늘날 우리에게 ‘화해와 관용’에 기초한 성숙한 민주주의의 실현을 요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작은 차이를 넘어 ‘대승적 타협’을 이루는 ‘중도 실용주의’의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이것이 5ㆍ18 민주화운동의 정신을 계승ㆍ발전시키는 길이라고 덧붙였다.

 5ㆍ18민주화운동 30주년을 맞아 정파와 지역, 이념 등을 떠나 진정으로 5ㆍ18의 소중한 정신을 되살리는 길이 무엇인지 다 함께 곰곰이 생각해봤으면 좋겠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