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9 15:47 (금)
건강과 의료
건강과 의료
  • 승인 2007.03.06 06: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성인 탈장의 치료
탈장(脫腸)은 ‘장이 탈출된다’는 뜻으로, 영어로 hernia 라고 한다. Hernia 란 말은 라틴어에서 왔는데 그 의미는 ‘rupture’ 즉 ‘터졌다’는 의미이다.

쉽게 설명하면 배속의 구조물들을 보호하는 벽이 존재하고, 어떤 원인으로 보호막을 싼 벽이 약하게 되면 그 곳을 통하여 배속의 구조물이 빠져 나오는 현상을 일반으로 탈장이라고 한다.

탈장은 원인과 발생부위에 따라서 여러 종류로 분류할수 있다. 근본적으로 복압이 증가될 수 있는 여러 상황(기침이 심한 만성 호흡기질환자, 복수가 심한 간경화환자, 만성적인 변비환자, 이전에 서혜부를 수술하였거나 사고 등으로 다쳐 서혜부나 복부의 구조물이 약화된 환자 등)인 경우에 복벽의 약한 부위로 압력이 가해져 탈장은 일어나고, 앞서 설명한 대로 서혜부를 포함한 어느 부위에서도 발생 가능하다.

발생원인 및 부위에 따라서 분류하면 첫째, 간접서혜부탈장으로 태생기에 막혀야 하는 탈장주머니가 막히지 않았거나, 막혔다가 다시 열려서 서혜부 인대속의 탈장낭을 통해서 장 및 장막 등이 탈출된 것으로 간접서혜부 탈장이라고 한다. 서혜부 탈장의 80%를 차지하며, 소아의 경우와는 달리 성인의 경우에는 탈출된 탈장낭 및 후복벽까지 봉합하여야 치료가 완성된다.

둘째, 직접서혜부탈장은 복벽과 근육층의 결손부위가 생겨서, 이런 약한 복벽을 통하여 직접적으로 탈장이 되는 것으로 치료는 간접서혜부탈장과 동일하게 탈장낭을 찾아서 원인을 밝히고, 후벽을 강화하여 보강하는 수술을 하여야 한다.

셋째, 제대 탈장으로 배꼽부위(제대)는 태어날 때 이미 후복막인대로 막혀야 되는데, 이런 성장과장이 늦어지거나 발육이 일어나지 않아서, 복막이 없는 배꼽부위로 장이 탈출되는 것으로, 배꼽 밑 후복막의 유실되어 있는 부위를 찾아서 단단이 봉합하여 치료한다.

넷째, 반흔 탈장은 이전에 복부수술을 한 후 봉합한 피하의 근막층이 여러가지 원인(영양상태가 부실하거나 응급수술시 잘 발생되는 상처부위감염이 있는 경우, 흡연 등 상처회복에 저해가 되는 여러 상황 및 앞서 설명한 과도하게 복압이 상승되는 환자 등)에 의해서 봉합부위가 잘 아물지 못하고 파열되어 발생된 탈장으로, 수술로서 교정하여 복막을 재봉합하여야 한다.

흔히 볼 수 있는 탈장이외에도 부위에 따라서 대퇴탈장, 횡경막탈장, 탈출위치가 일반적으로는 많이 생기지 않는 부위의 탈장 등 종류가 많으며, 각각의 경우에도 근본적인 치료는 탈장낭을 찾아서 원인을 확인한 후, 탈장낭을 제거하고 탈장이 일어나면서 약해진 복벽을 보강하는 것이 기본적인 치료이다.

탈장의 증상 및 진단은 대부분의 경우 장이나 장간막 등 배속내부의 구조물들이 빠져나와서 서혜부를 비롯한 탈장부위에 메추리알 혹은 심하면 계란 1/2 크기로 불룩하게 튀어나오기 때문에 눈으로 확인이 가능하며, 소아의 경우라면 보호자의 설명으로 충분이 진단이 가능하다.

크기가 작아서 증상 및 환자의 설명이 모호하고 불확실한 경우에는 초음파검사 등으로 확인할 필요가 있다.

수년간 가지고 지낸 탈장이라도 위와 같은 교액현상이 일어날 수 있기에 조심하여야 하며 미리 원인을 치료하는 것이 가장 좋은 선택이다.

마산삼성병원 외과 최승호 교수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