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여름 경남 지역은 유례없는 폭염과 함께 온열질환자가 지난해에 비해 무려 100명 가까이 증가했다. 시민들은 잠을 이루지 못하고, 전력 수요는 연일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다. 이 같은 기후 변화의 극단적 양상은 경제적 약자에게 더 큰 고통을 안겨준다. 급증하는 전기요금은 또 다른 부담으로 작용한다. 지금 우리는 폭염을 단순한 일시적 현상으로 치부해서는 안 된다. 이는 기후 변화가 가져올 재난적 상황을 예고하는 경고 신호다.
이번 여름, 경남 지역에서 온열질환으로 진단받은 환자는 300명을 넘어섰으며, 이 중 6명이 사망하는 참극이 발생했다. 폭염이 단지 불편함을 넘어, 생명과 직결된 문제임을 보여준다. 특히 고령자나 저소득층은 냉방기기를 충분히 가동할 여력이 없어 더 큰 위험에 노출돼 있다. 이는 곧 에너지 빈곤 문제와도 직결된다. 폭염과 같은 극단적 기후 상황에서 에너지 접근권이 생명권과 직결된다는 사실을 인식해야 한다.
올여름 기록적인 전력 수요는 우리 사회가 얼마나 폭염에 취약한지 여실히 보여준다. 예비력과 예비율이 충분하다는 한전의 발표는 일단 안도감을 주지만, 이것이 근본적인 해결책은 아니다. 에너지 수급 문제는 단순히 공급량을 늘리는 것으로 해결될 수 없다. 전력 소비를 줄이는 노력과 함께, 특히 취약 계층에 대한 에너지 복지가 강화돼야 한다.
기후 변화는 더 이상 먼 미래의 이야기가 아니다. 극심한 폭염이 지나가면 우리는 또다시 혹독한 겨울을 맞이할 가능성이 크다. 지구 온난화로 인한 기후 변동성이 커지면서, 한반도는 더욱 잦은 극단적 기후 상황에 직면할 것이다.
이제는 기후 변화에 대한 대응이 단순히 환경 보호의 차원을 넘어, 사회적 불평등을 해소하는 중요한 문제로 다루어져야 한다. 정부와 지자체는 에너지 복지를 대폭 강화해야 한다. 서민들이 폭염과 혹한 속에서도 안전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냉방과 난방 비용 지원을 포함한 다양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 지금의 폭염은 우리가 지구 환경을 보호하고, 기후 변화에 대응해야 할 시급한 이유를 명확히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