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은 농어촌을 떠난다. 청년인구 수도권 쏠림은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경남의 경우 청년 인구 순이동 추이가 지난 2016년 7000여 명에서 지속적으로 늘어 2020년 1만 6000여 명으로 가장 큰 폭으로 늘었다. 이후 21년 유출 숫자가 다소 줄고 2022년 다시 1만 6000여 명으로 늘었다. 지방 소멸의 문제가 현실로 닥쳐온다. 지난해 연말 기준 전국에 분만을 받는 산부인과 수가 463개로 집계됐다. 10년 전인 2013년 706개에서 34.4%가 줄어든 수치다.
이러한 가운데 정부가 농산어촌개발사업을 통해 정주하는 농어촌을 만드는 데 예산을 쏟는다. 지방 소멸 문제 해결을 위해청년들이 농어촌에 남아있어야 하는 구체적 요인을 만드는 것이다.
경남도는 해양수산부가 공모한 내년도 어촌분야 농산어촌개발사업에 도내 3개 시군 4곳이 뽑혔다고 밝혔다. 권역단위 거점 개발지는 통영시 무량권역, 거제시 맹종죽 시배지 권역이며 시군 역량강화사업에 통영, 거제, 남해군이 각각 선정됐다.
통영 무량마을은 마을 내 방치된 시설에 빼떼기 등 통영시 특산물 판매공간, 마을 안길, 산책로를 조성하며 거제시 맹종죽시배지 권역은 대규모 맹종죽 군락지가 있는 곳에 50억여 원을 투입해 맹종죽 문화전시관, 건강쉼터 등을 조성해 관광객에게 알린다.
경남은 지난 2022년 '청년이 살고 싶은 더 큰 경남'이라는 목표를 세워 총 117개 사업에 예산 1173억 원을 투입했다. 2023년에도 122개 사업에 2150억 원을 투입했지만 청년인구 순이동자 숫자에 변화를 주지 못했다. 정책 효과가 사실상 발생하지 못한 것이다.
농산어촌개발사업처럼 농어촌 마을의 특색있는 매력을 위한 노력이 이어지는데 정작 청년이 없는 노령화된 농어촌마을은 사업이 지속 가능하지 않다. 경남도 청년 정책과 농어촌 정주 여건을 개선시키는 농산어촌 담당 부서에서 통합 정책을 마련하는 것도 고려해볼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