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시·군의 인구 감소는 어제오늘의 문제는 아니다. 특별한 인구 요인이 없으면 인구 유출은 계속될 수밖에 없다. 그렇다고 지방소멸 위기를 눈으로 지켜볼 수만은 없다. 그래서 각 시·군마다 맞춤형 인구정책이 시급하다. 시·군이 귀농귀촌을 통해 인구를 유지하거나 일부 인구가 늘어나는 효과를 보고 있다. 이 정책에도 한계는 있다.
경남도는 생활인구 개념을 적용해 외국인이 인구감소지역 11개 시·군에 살면서 제조업·농어업 분야를 중심으로 취업과 창업은 경남 어디서든 가능하도록 허용했다. 인구 5만명은 각종 정책과 재정을 결정하는 중요 지표이기도 해 고성군은 인구청년추진단을 신설해 인구 증가 시책과 신규 사업 발굴에 힘쓰고 있다. 정부가 지방자치단체에 주는 교부세를 산정하는 여러 기준 중 하나가 인구 5만 명이다. 고성군은 무너진 인구 5만 명 선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인구 감소 저지선을 세워 놓고 경남 기초단치단체가 인구 감소를 막으려고 안간힘을 쓰고 있지만 큰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거창군은 6만 인구 사수를 주요 군정 목표로 삼아 올해 초 인구감소율 최저, 생활인구 연 100만 명 달성 등의 인구정책을 추진할 계획을 밝혔다. 경남 지자체마다 지역 특색에 맞는 정책 마련에 힘쓰고 있다. 유학·취업 중인 외국인·외국 국적 동포가 인구감소지역에 일정 기간 거주하고 취업·창업하면 체류 자격을 완화해 장기 거주가 가능한 특례 비자(F-2·거주비자)를 발급해 주는 제도를 활용하기도 한다.
경남 시·군의 인구 감소는 거대한 쓰나미에 비유할 수 있다. 거대한 쓰나미에 맞서는 인구 정책은 나약하게 비춰지기도 한다. 이런 틈새로 맞춤형 인구정책이 큰 발휘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