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5 22:40 (목)
문화재 복원 발굴, 주민 아닌 국가 나서야
문화재 복원 발굴, 주민 아닌 국가 나서야
  • 김중걸 기자
  • 승인 2023.06.07 23:0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중걸 편집위원
김중걸 편집위원

`가야진용신제`(伽倻津龍神祭)를 국가무형문화재로 승격하기 위한 주민과 행정의 노력에 정치권이 힘을 보태고 있다. 국가무형문화재 지정 삼수(三修) 도전에 나선 양산시는 낙동강 하류권 역사문화관광벨트 중심도시로 성장을 꾀하기 위해 전방위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양산시는 지난 3일 양산시 물금읍 황산공원에서 `낙동강 시대` 개막을 선언했다. 이날 개막식에는 박완수 경남지사, 안병윤 부산시 행정부시장, 나동연 양산시장, 홍태용 김해시장, 오태원 북구청장, 이갑준 사상구청장, 김형찬 강서구청장, 조병길 사상구청장 등 부산ㆍ경남 낙동강 지자체 6개 단체장과 정치인이 대거 참여해 자축했다.

이들 지자체는 낙동강을 매개로 공동 발전을 도모하겠다는 야심 찬 계획을 추진키로 했다. 더욱이 양산시는 낙동강 하류권의 대표적인 문화유산인 `가야진용신제`를 국가무형문화재 승격을 통한 낙동강 시대의 추진력의 동력을 삼기로 하고 승격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 이들은 낙동강권역을 새로운 문화관광 랜드마크로 만들고 이를 통해 도시가 발전하면서 주민들이 더 나은 삶을 사는 `낙동강권역 공동번영의 시대`를 이루겠다고 약속했다. 또 "한강의 기적이 `경제 강국` 대한민국을 낳았듯이 이제 낙동강이 동남권의 미래 발전과 주민의 삶의 질 향상을 견인하는 기적의 강으로 다시 태어나야 한다"고 강조했다. 현재 운항 중인 생태탐방선을 관광유람선으로 격을 높여 낙동강 뱃길을 복원하겠다는 청사진도 내놓았다.

낙동강 지자체의 `낙동강시대` 개막선언과 함께 주목받고 있는 곳이 `가야진`이다. 가야진(伽倻津)은 낙동강 변인 양산시 원동면 용당리에 있는 진(津ㆍ나루터)으로 신라가 가야를 징벌할 때 왕래하던 나루이다. 가야진은 낙동강 건너 김해시 상동면 여차리와 마주하고 있다. 여차리에도 나루터가 있었다고 한다. 가야진에는 가야진사(伽倻津祠)가 있다.

나루터 신을 모신 제당으로 가야진사에서는 해마다 4월 용신제(龍神祭)를 지낸다. 삼국사기와 동국여지승람 등의 사료에 언급된 내용에 따르면 가야진사는 신라 19대 눌지왕(450년)이 강 건너 가야를 공격하기 위해 이곳의 벌판에 자리하고 강을 건너기 전에 수신(水神)에게 제사를 올렸다고 기록돼 있다.

가야진 하류에는 황산진(현재 황산공원)이 있다. 황산진 역시 삼한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낙동`(洛東) 지명은 가락(伽洛ㆍ가야)의 동쪽을 흐르는 강이라는 뜻이다. 황산강(黃山江)은 경남도 양산지방에서 부르던 명칭의 하나이다. `성호사설`에는 6가야가 동쪽으로 황산강을 경계로 삼았다고, 또 `신증동국여지승람`(양산)에는 황산강 상류를 가야진이라 부른다고 했다고 한다. 황산강은 황산하(河), 또는 황산진(津)이라고도 했는데, `황산강`은 `한뫼가람`의 뜻으로서 넓은 들을 지나는 큰 강으로 풀이하기도 한다.

용신제는 삼국시대 때부터 지역민들이 마을의 안녕을 위해 천신, 지신, 용신에게 빌고 노래와 춤으로 한바탕 잔치를 벌이는 제사를 올린 우리 고유의 전통문화이다. 용신제는 마을 제사를 넘어 강을 오가는 군사 등의 안전 즉 국태민안(國泰民安)을 위한 국가 제례(祭禮)로 발전해 왔다. 국가의 패망 후 사독(四瀆)은 사라졌으나 유일하게 양산시 원동면 주민들이 용신제를 지켜왔다.

원동마을에는 용의 전설도 많다. 해마다 4월이면 가야진용신제를 거행하고 있다.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에는 가야진용신제를 마을 주민 모두가 참여하는 축제 성격을 가지면서 주민 화합을 다지는 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고 소개하고 있다.

지난 2일 양산시 원동면에서 열린 `가야진용신제 국가무형문화재 승격을 위한 토론회`에서는 양산시민의 열정을 잘 보여줬다. 윤영석 의원과 양산시가 주최하고 문화재청, 경남도가 후원한 이날 토론회에서 주민들은 "가야진용신제는 삼국시대부터 내려온 국가 제사인 중사(中事) 중 하나로 현재 유일하게 남아있는 사독(四瀆)이다"며 "민간에서 복원ㆍ계승해 오는 용신제는 국가가 책임지고 발굴ㆍ전승ㆍ보존해야 한다"며 국가 책무론 제기했다.

주민들은 "지난 2015년, 2019년 연이은 승격 탈락의 이유가 제례에 대동놀이 등 무속신앙 포함이 됐다는 것은 잘못됐다"며 "고증은 주민이 아닌 전문가인 문화재청이 해야 할 일"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가야사 복원사업이 그렇듯이 `가야진용신제` 역시 문화재청 등 관련 기관과 전문가의 의지에 따라 복원ㆍ전승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동북공정 등 중국과 같은 문화재 복원 정책 추진까지는 아니라도 우리는 있는 역사라도 잘 복원ㆍ보전ㆍ계승하는 정신과 시스템을 갖춰야 한다. 정치권ㆍ행정 역시 문화재 전문가들의 연구와 탐사 발굴 지원에 적극 나서야 할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