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가 차세대 원전 글로벌 제조거점으로 육성하겠다는 비전을 제시했다. `경남도 원전산업 육성 중장기 종합계획`은 민선 8기 출범 이후 지난해 8월부터 10개월여간 30여명의 산ㆍ학ㆍ연 민간 전문가 워킹그룹 구성ㆍ운영과 기업 현장의 의견을 수렴해 만들어졌다. 이 종합계획에 제대로 먹히는 경남은 육상과 해상의 차세대 원전 분야의 글로벌 제조거점으로 도약하게 된다.
이번 종합계획에는 `차세대 원전 글로벌 제조거점 육성`이라는 중장기 비전 속에 △제조혁신 클러스터 조성 △차세대 원전 제조혁신 기술개발 △글로벌 수출 강소기업 육성 등 3대 추진전략과 13개 중점과제, 41개 세부 실행사업계획이 담겼다. 도는 2032년까지 총 2조 5970억 원(국비 5875억 원, 지방비 951억 원, 민자 1조 9144억 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특히 도는 원자력 산업 육성 종합계획 실행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로 5조 2996억 원의 생산 유발, 2조 837억 원의 부가가치 유발, 2만 7123명의 고용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도는 제조혁신 클러스터 조성을 위해 원자력산업과 주력산업의 융복합을 통한 원자력산업 육성 기반을 마련한다.
경남 원전산업 생태계 복원과 기업 지원을 위한 컨트롤타워 역할을 수행할 원자력산업종합지원센터를 구축해 제조혁신 클러스터를 만들어나갈 계획이다. SMR은 제작기간 단축과 제조비용 절감 등 경제성 확보를 위해 기존 제작방식과 다른 혁신 제조기술인 고온등방압 분말야금기술(PM-HIP) 등을 정부의 연구개발(R&D) 과제로 추진할 계획이다.
지난 정부 탈원전 정책으로 도내 원전기업들이 추운 겨울을 보냈다. 새 정부 들어 도내 원전기업이 새로운 활력을 찾고 있다. 경남도의 촘촘한 행정 지원으로 경남이 차세대원전 분야의 글로벌 제조거점으로 우뚝 서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