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8 23:49 (목)
도지사 일성, 경남의 대학 이대로 안 된다
도지사 일성, 경남의 대학 이대로 안 된다
  • 박재근 기자
  • 승인 2023.05.14 20:42
  • 댓글 2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제대 파산 신청도, 남의 일 무신경
타지역 대학교 통폐합에도 딴전
청년 인재 타지역 유출 책임론 공방
도내 대학 통폐합, 정치권 반대는 난센스
재학생 재학 중 20~30%, 수도권으로

 

박재근 칼럼 대기자ㆍ칼럼니스트
박재근 칼럼 대기자ㆍ칼럼니스트

로스쿨ㆍ의대 등 특수목적 대학 한곳 없어

경남 정치권 책임론에 항의 도민은 분노

박완수 도지사는 경남을 가장 잘 알고 있는 지도자이다. 그는 경남도 재직 중 수출산업을 견인, 경남의 GRDP를 전국 3위에 랭크하도록 경남 산업개편을 이끈 장본인이다. 이젠 성장 가능성이 넘치고 국가 동력의 현장 경남 재도약에 명운을 건다.

반면, 가장 취약한 것으로는 대학교육을 꼽는다. 특수 목적대학 설립과 청년 인재 양성, 국가 동력 경남 산업 선순환을 위해 현 대학의 구조조정은 대학의 존립 여부를 떠나 생존권 문제를 강조했었다. 이를 귓등으로 들은 도내 대학 현주소는 절벽인 상황이다. 급기야 최근 한국국제대학교가 창원지방법원에 파산을 신청했다.

사태가 이 지경에 이르도록 장기간 버려둔 탓인지 도내 대학은 무신경이다. 그만큼 견실하다면야 다행이지만 그렇지를 않은 사실에도 강 건너 불구경하듯 한다.

반면 부산대학교는 부산교대와 통폐합에 나섰고 영남대학교는 영남전문대학과 대구대학교는 지역 3개 대학과의 통폐합을 서둘고 있다. 이는 교육부가 정책으로 지원하기로 한 글로컬 대학 지정을 받기 위한 혁신안이다. 혁신 전략을 제시한 대학을 선정, 5년간 1000억 원을 지원한다. 올해 지역대학 10곳을 지정한 뒤 매년 5곳 내외로 확대, 오는 2027년까지 30곳 이상의 글로컬 대학을 육성하겠다는 구상이다.

글로컬 대학으로 선정되지 못하면 생존하기 어렵다는 위기감 때문에 대학들의 구조개혁 의지가 높은 상황이다. 대학이 제시하는 혁신안이 우선이라고 교육부가 강조한 만큼 선정 방식이 과거와 달리, 대학 간 통폐합이나 학과 간 통합 등 혁신안이 좌우될 것으로 전해졌다. 이 같은 상황에도 도내 10개 대학은 자체(안)에 기대를 걸고 있는 수준이다. 속내에는 지역 안배를 기대하는 분위기도 없지 않은 것 같다.

도내 A 대학 관계자는 "몇 개 대학이 카르텔을 형성, 정책 지원에 우선하는 경향이 없지 않았다"라며 "이 같은 분위기가 또다시 경남에 계속된다면, 경남에 있는 대학 발전도 그렇지만, 경남도가 추구하는 인재양성은 빈말이다"라고 말했다.

이런 분위기가 이어지고 있는 것에 대해 `우물 안의 생각과 다를 바 없다"는 지적이다. 국립대는 통폐합 당위성에도 교수들이 반발, 기득권으로 받아들여진다. 또 도내 사학은 얽히고설킨 다툼, 비리, 재단 권력화로 철옹성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전국에서 유일하게 2개 도립대학이 존재, 생존전략은 선택이 아닌 필수이다. 따라서 일부 정치권 반대가 노이즈마케팅이 아니라면 경남도가 추진하는 혁신에의 참여가 요구된다. 전국에서 경남 청소년들이 다른 지역 대학으로의 유학이 가장 많은 사실은 대학관계자들도 익히 알고 있는 사안이다. 도내 대학 재학생 20~30%가 수도권 대학편입학을 비롯해 경남지역 청년 유출은 △2020년 1만 7934명 △2021년 1만 7136명 △2022년 1만7982명이며 올 1/4분기는 경남을 떠난 청년이 전국에서 가장 많았다.

직업과 교육이 목적이다. 역외 유출된 우수 인재의 `경남 귀환`을 정책으로 추진하는 안이 제기될 정도로 절박하다. 이와 별도로 경남도는 의대와 법학전문대학원 카이스트 설립을 위해 정부와 협의를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2003년 전국 광역단체에 배정된 로스쿨 350만 인구 경남만 배제됐다. 의대 한의대는 물론, 타 시ㆍ도에는 KAIST(대전), UNIST(울산), GIST(광주), DGIST(대구), POSTECH (경북)과 달리 국가 동력 메카 경남에만 과학기술원이 없다. 부산은 KIOST (해양과학기술원)이 소재한다.

또 전남에는 한전공대도 신설됐다. 도민들은 원전 방산ㆍ조선ㆍ기계산업 등 국가 동력의 메카라지만, 단순 생산기지로 남을 것인지, 제조ㆍ연구ㆍ여가ㆍ교육이 뒷받침된 명품 경남으로 나가야 할지를 생각하면, 화가 치민다는 반응이다. 타 시ㆍ도와 비교 대상이 안 되는 건 정치권 탓이다. 인구 등을 고려할 때 교육에 정치 옷을 입혀 경남 배제를 않고서는 이해하기 어려운 게 현실이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총선 때 경남 정치권 물갈이론이 나온다. 도내 대학 파산 신청은 벚꽃 엔딩의 신호탄이다. 교육부가 실시하는 대학지원체계 사업, 경남도(지자체)가 대학의 행정, 재정지원 권한을 일부 위임받은 것을 기회로 대학과 협의체를 구성, 현 여건으로는 어느 대학도 자유롭지 못한 만큼, 생존을 위한 통폐합, 구조조정 등 혁신의 강공드라이브에 나서야만 한다.

대학의 혁신ㆍ특수목적 대학 설립ㆍ물류와 공항ㆍ기업투자와 교통인프라ㆍ문화 등의 유기적 결합으로 경남의 새 장을 열기 위해서는 전 도민이 참여해야만 가능하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2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김지용 2023-05-15 00:07:59
백번공감.간만에 기분 좋습니다.

김지용 2023-05-15 00:06:02
공감.공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