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 살래야 안 살 수 없어"

창녕의 한 시민단체는 군민 자존심을 짓밟은 후보는 즉각 사퇴하라는 등 창녕군수 보선이 `청렴 선거여야 한다`는 캠페인에 땀을 흘린다.
시민단체의 이 같은 주장은 "민선 이후, 창녕군수 6명 중 3명이 범죄에 연루돼 임기를 다하지 못했다. 그런데, 이번 보궐 선거에서도 전과자들이 대거 후보로 나섰다. 군민들 사이에서 이런 사람 뽑으면 뭐 하냐란 반응이 나오는 등 선거 기피 현상을 우려, 최선이 아니면 차선이라도 선택하란" 캠페인이다.
창녕은 전임 군수가 선거법 위반 등에 연루되면서 극단적 선택으로 선거 10개월 만에 보궐선거를 치르는 곳이다. 그렇다면 도덕적으로 깨끗한 후보들이 나올 법한데, 후보 7명 중 6명이 전과자란 사실이 드러나면서 희한하다는 반응이 나온다. 6명의 죄목은 음주 운전부터 뇌물, 선거법 위반 등 최소 벌금 100만 원부터 징역 5년의 실형까지 받았다. 후보자들은 서로 쉬쉬하는 분위기다. 똥 묻은 개 욕먹을까 조심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문제는 후보 중 어느 누구든 창녕군수로 선출된다는 점이다. 군민 A씨는 "소비자의 상품 구매는 품질과 가격을 가려 질이 떨어지면 안 사면 된다"면서 "하지만 안 살래야 안 살 수 없는 선거란 게 무척이나 괴롭게 만든다"고 말했다. 창녕군수 보궐선거, 주민을 대표하는 일꾼을 뽑기 때문에 품질이나 가성비로 봐선 도저히 사줄 수가 없는데, 그렇다고 선거를 안 할 수도 없고, 옥석을 골라야 하는 유권자로선 투표권을 박탈당한 기분이 든다고 말했다. 창녕 군민은 언제까지 선거에서조차, 호갱 취급받아야 하는 것인지를 되묻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