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0 01:46 (토)
[창간특집]조선업 물량 확보로 `희망` 부는데 현장은 아직 춥다
[창간특집]조선업 물량 확보로 `희망` 부는데 현장은 아직 춥다
  • 한상균 기자
  • 승인 2022.04.10 22: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우조선해양ㆍ한국석유공사가 탈탄소 기술 개발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 뒤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대우조선해양ㆍ한국석유공사가 탈탄소 기술 개발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 뒤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한국 1분기 수주 50%… 7년 만에 세계 1위
고부가가치 선종 개발 품질 인정 "승산 있다"
작년 대우조선 실적 136%ㆍ삼성중 134% 달성

거제지역 최대 산업 조선업이 1분기를 넘어섰지만 아직도 풀릴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심심찮게 수주 소식은 들리지만 생산현장은 더 움츠러드는 분위기다. 봄은 왔지만 봄이 아닌 것을 실감한다. 그러나 조선업이 희망의 불씨를 지피고 있는 것은 수치로 확인된다.

영국 클락슨 리서치는 2021년 글로벌 선박 발주량에 대한 수주 1위를 한국으로 꼽았다. 2020년 2390만 CGT의 약 2배 규모인 4664만CGT로 집계하고 한국은 1744만CGT를 수주해 1위로 집계했다. 2013년 1845만CGT 이후 8년 만에 최대 수주 실적이다. 2020년 870만CGT 대비 101% 도약한 실적이다. 지난 2015년 이후 글로벌 경제위기로 극심한 수주 불황에 시달리던 한국 조선업에 청신호가 켜졌다.

그 여세를 몰아 2022년 3월 발주물량 323만CGT(88척) 중 164만CGT(35척, 51%)를 수주해 1위를 차지하면서 1분기(1~3월) 실적도 1위를 차지했다. 3개월 동안 발주된 물량은 920만CGT(259척), 한국은 457만CGT(97척)를 수주, 절반을 쓸어 담았다. 386만CGT(130척, 42%)를 기록한 2위 중국을 제쳤다. 선박 수는 중국이 130척으로, 한국 97척을 앞섰지만 톤수로 앞섰다. 중국이 수주한 물량은 자국 수주분과 소형선이라는 점에서 질적인 수주 격차가 크다는 것을 증명한다.

한국의 이번 1분기 실적은 지난 2015년(한 29%, 중 28%) 이후 7년 만에 선두를 되찾았고 시장 점유율 50% 기록은 지난 1996년 이후 처음 이뤄낸 쾌거다.

한국의 수주 강세를 뒷받침한 선종은 대형 컨테이너선과 LNG운반선이다. 컨테이너선은 1만 2000TEU급 이상 규모, LNG선은 14만m³ 이상을 대형종으로 규정한다. 대형 컨테니어선은 38척 중 21척(55%), 대형 LNG선은 37척 중 26척(70%)을 수주해 주력 선종에서 절대적인 우위를 보여준다. 선사들이 한국의 기술력과 품질을 인정했다는 증거다.

한국이 보유한 3월 말 세계 수주잔량은 2월 말 대비 155만CGT(2%↑) 증가한 9471만CGT다. 국가별로는 한국(112만CGT, 4%↑), 중국(61만CGT, 2%↑)은 증가, 일본(24만CGT, 3%↓)은 감소했다. 3년 치 건조물량을 확보한 셈이다.

국가별 수주 잔량은 중국 3948만CGT(42%)로 1위, 한국 3238만CGT(34%), 일본 912만CGT(10%) 순이다.

조선업은 강재 무게 단위로 가격이 형성되기 때문에 대형선 이상을 고부가가치선으로 분류한다.

이 같은 고부가가치선 위주의 선별 수주가 예상되는 글로벌 환경과 맞물리면서 대한민국 조선업계가 고기술, 고품질까지 인정받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충분히 승산이 있는 때를 맞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액화이산화탄소 운반선 조감도.
액화이산화탄소 운반선 조감도.

▲새로운 부가가치 선종 개발

대우조선해양이 초대형 이산화탄소 운반선은 무탄소화 실현을 위한 새로운 선종 개발 차원이다. 극히 초기 단계지만 미국 선급 ABS로부터 7만㎥급 초대형 액화이산화탄소 운반선(LCO2 Carrier)에 대한 기본 승인(AIP)을 지난 7일 획득했다.

이 선박은 길이 260m, 폭 44m로 현재까지 선급의 인증을 획득한 LCO2운반선 중에서 가장 대형선이다. 특히 LNG추진엔진을 탑재하고, 선박용 이산화탄소 포집 저장 장치를 설치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확보가 가능해 각종 환경 규제에 대응할 수 있는 디자인으로 개발됐다고 회사 관계자는 밝혔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탈탄소화 정책과 탄소포집 기술의 발달로 선박을 통한 액화이산화탄소 운송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현재 식품산업용 1000~2000㎥급 소형 LCO2운반선으로 탄소포집시장의 요구를 만족시키는 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초대형 LCO2운반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자율운항 기술 개발

대우조선해양은 한국선급과 협약으로 자율운항 시험선 `단비`를 개발하고 있다.

단비(DANV)는 경기 시화호와 영종도 서해상에서 실증 작업을 거쳐 올 연말까지 시흥R&D캠퍼스 내 스마트십 육상관제센터와 연동해 AR, VR, 원격조종 등 자율운항 및 안전운항 관련 기술 테스트를 거쳐 실제 시험선에 탑재해 성능을 입증한다는 계획이다.

이 기술은 경기경제자유구역청, 시흥시, 서울대학교 시흥캠퍼스와 자율운항기술 개발과 실증을 위한 협약을 체결해 박차를 가하고 있다.

삼성중공업은 영국선급 로이드 `Digital Twin READY for SVESSEL CBM & S-Fugas` 기본 인증(Approval In Principle)을 획득했다. 스마트십 애플리케이션 고장진단시스템과 S-Fugas(LNG 연료공급 시스템) 디지털 트윈 기술을 적용할 준비를 갖췄다. 거제조선소에서 건조 중인 11만 t급 LNG 이중연료 추진 원유운반선에 이 기술을 적용해 선박 시운전 소요 시간과 비용 단축은 물론 시스템 최적화에 활용할 계획이다.

삼성중공업 예인선 `SAMSUNG T-8호(300t급)`와 목포해양대 실습선 `세계로호(9200t급)`를 통해 실증을 거쳤다.

실제 해상시험운항에서 최대 14노트로 자율운항하면서 최소근접거리 1해리(1852m)를 두고 회피한 다음 본래 목적지로 자율운항하는 성능을 확인했다. 실증 해역과 300㎞ 떨어진 삼성중공업 대덕연구소 육상관제센터에서 실시간 자료 수집ㆍ분석이 가능했다는 것이다.

▲대우조선ㆍ삼성중 작년 수주 실적

대우조선해양은 총 59척, 104억4000만 달러 수주고를 달성했다. △컨테이너선 20척 △LNG운반선 15척 △초대형원유운반선 11척 △초대형LPG운반선 9척 △WTIV 1척 △잠수함 1척 △해양플랜트 2기 등이다. 수주 선박 56척 중 45척이 친환경 선박이다. 목표 77억 달러의 136%를 달성했다. 100억 달러 이상 수주실적은 지난 2014년 149억 달러 수주 이후 7년 만이다.

삼성중공업은 △LNG운반선 22척 △컨테이너선 44척 △원유운반선 14척 등 총 80척 122억 달러를 기록했다. 목표치 91억 달러를 34% 초과 달성했다. 지난 2013년 최대호황기 133억 달러 수주 이후 최대성과다.

LNG운반선.
LNG운반선.

▲신 FLNG 계류시스템 독자 개발

삼성중공업은 `바다 위의 LNG 공장`으로 불리는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ㆍ저장ㆍ하역 설비(FLNG)에 적용 가능한 `원 사이드 스프레드(One-side Spread)` 계류시스템을 독자 개발해 미국 선급 ABS의 기본 인증(Approval in Principle)을 획득했다.

이 계류시스템은 초대형 부유식 설비가 해상 천연가스 채굴, 생산된 LNG 자세를 유지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삼성중공업이 개발한 `원 사이드 스프레드(One-side Spread)` 계류시스템은 한쪽 측면에 고장력 로프를 걸어 고정하는 방식으로 △LNG운반선의 안전 접근, 접안 용이 △FLNG의 안정적 운동성능 확보 △기존 터렛(Turret)방식에 비해 설치가 쉽고 경제적이다.

▲물량은 넘치는데, 인력은 부족

거제시 인구는 3월 말 기준 24만 명이 무너졌다. 23만 9554명이다. 2016년 27만 879명으로 최정점을 찍었던 시 인구는 2018년 26만 3162명으로 27만 명 선이 무너졌고, 급기야 23만 명 대로 추락했다. 조선업의 위기가 곧 인구감소라는 등식을 증명하는 자료다. 주민등록인구 감소에 더해 도미노현상으로 일어난 유동인구의 감소다. 이들은 주택 전월세, 원룸, 오피스텔, 숙박업소 등의 상권위축을 촉발시켰다. 유동인구의 절대다수가 조선업을 직간접으로 떠받치는 인력이라는 점에서 코로나19로 인한 외국인 수급문제와 맞물려 어려움을 가중시키는 실정을 맞고 있다.

한내협동화공단 관계자는 인력수급문제는 이미 오래전에 예측된 조선업계의 가장 중대문제로 지목됐다. 거제시의 대책협의회에서 가장 핵심주제로 등장했지만 전혀 반영되지 않았다고 전제하면서 △주 52시간 탄력 적용 △최저임금 자율화 △외국인노동자 수급문제 해결 등을 꼽았다. 이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외부로 나간 인력 흡수, 기술훈련생 모집 등이 요원하다는 주장이다.

다른 협력사 관계자는 변광용 시장이 최근 양대조선소에 단가인상을 호소한다고 했지만 양대조선의 올해 물량은 이미 2, 3년 전의 물량이므로 단가인상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실정임을 감안할 때 실효성이 전혀 없는 선거용일 뿐이다. 정말 정치인들이 조선업을 살리겠다면 세금ㆍ금융이자 등 유예가 아닌 감면과 법령 개정이라고 못박았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