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0 00:06 (토)
아슬아슬한 낚싯줄 싸움
아슬아슬한 낚싯줄 싸움
  • 이주영
  • 승인 2022.01.04 22: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주영 거창경찰서 경무계 순경
이주영 거창경찰서 경무계 순경

 어부들은 잔잔한 바다에 수많은 낚싯줄을 던져 물고기가 미끼를 무는 순간까지 기다리고 있다. 물고기가 미끼를 무는 순간 잔잔했던 바다에는 폭풍 같은 파도가 휘몰아치기 시작하면서 어부들은 물고기를 놓치지 않기 위해 낚싯줄을 힘껏 끌어당긴다. 이러한 상황은 보이스피싱범들이 뿌려놓은 낚싯줄을 누군가는 지나칠 수 있지만 또 다른 누군가는 지나치지 못하고 걸려버리는 `보이스피싱`을 연상시킨다. 흔히 보이스피싱하면 전화사기(기관사칭형, 대출 사기형 등)를 떠올리지만 최근 스마트폰과 SNS의 확산 및 코로나19로 인해 메신저피싱(자녀사칭형, 비대면 대출사기 등) 등 신종수법이 생기기 시작하면서 보이스피싱의 범죄는 급속도로 늘어나기 시작했다.

 경찰청에서 발표한 `보이스피싱 (2016~2020년) 통계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6년 1만 7040건에서 2020년 3만 1681건으로 약 2배 증가했고 또한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대출사기로 의심되는 신고 건수가 2021년 8월 기준으로 1172건이 접수되면서 2020년에 비해 330%가 증가했다.

 이렇게 갈수록 교묘하게 진화하는 보이스피싱을 예방하기 위해 해야 하는 건 무엇일까? 첫 번째, 검찰, 법원, 경찰이 개인정보를 묻지 않음. 검사나 수사기관을 사칭해 범죄 사건에 연루됐다며 계좌번호 및 카드번호 등 개인정보를 묻는 것은 보이스피싱의 단골 수법이다. 만약 검찰, 법원, 경찰 등 수사기관이 위와 같은 방법으로 전화가 온다면 이름과 직책을 물어본 뒤, 전화를 끊고 해당관서에 다시 전화해 확인해보자.

 두 번째, 확인할 수 없는 번호로 온 링크는 누르지 않기. 알 수 없는 번호로 택배업체(예: CJ대한통운)를 사칭해 오는 링크를 한 번쯤 받아본 경험이 있을 것이다. 택배물량이 늘면서 생겨난 스미싱으로, 문자로 온 링크를 누르면 악성 앱을 설치하도록 해 개인정보를 탈취하는 수법이다. 이제부터 의심스러운 내용의 문자메세지와 함께 URL가 온다면 절대로 누르면 안된다는 것을 명심하자.

 세 번째, 돈을 송금했거나 카드번호, 계좌번호 및 비밀번호를 알려줬다면 바로 지급정지하기. 해당은행이나 카드회사에 지급정지, 사용정지를 요청해야 한다. 카드ㆍ계좌ㆍ비밀번호를 알려줬다면 비밀번호를 수정하고 본인명의의 다른계좌 개설여부를 꼭 확인해야 한다.

 네 번째, 출처가 분명하지 않는 APK앱 설치하지 않기. `엄마 나 OO인데 휴대폰 잃어버렸어 이 번호로 연락줘`라는 문자를 한 번쯤 받아본 경험이 있을 것이다. 최근 많이 늘어나는 가족을 이용한 사칭으로 출처를 알 수 없는 앱 설치를 유도해 팀뷰어라는 원격시스템으로 정보를 빼앗아 가는 스미싱이다. 팀뷰어 앱이 설치돼있다면 바로 삭제하고 개인정보노출을 예방할 수 있는 엠세이퍼를 활용하자.

 마지막으로, 피해를 입었다면 금융감독원 콜센터와 경찰서에 즉시 신고하기. 아는 만큼 충분히 예방과 대처가 가능한 범죄다. 일상생활 속 나에게 수많은 낚싯줄을 피할 수 있도록 반복적으로 숙지하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