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9 05:07 (금)
없는 것 시리즈18… 안 열리는 경남 시장ㆍ군수 회의
없는 것 시리즈18… 안 열리는 경남 시장ㆍ군수 회의
  • 대기자·칼럼니스트 박재근
  • 승인 2021.07.18 22:4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기자·칼럼니스트 박재근
대기자·칼럼니스트 박재근

'큰 경남`이란 도정 운영에 대한 이견이 잦다. 도내 시장ㆍ군수 회의를 하지 않는 도정과 달리, 3번째 바뀐 `더 큰 경남`이란 도정 슬로건이 뜻하는 바를 모르는 바 아니다. 이 때문인지, 일각에서는 정략(政略)에 우선한 도정이란 말이 나온다.

하지만 큰 그림인 메가시티 추진에 앞서 부ㆍ울ㆍ경에 `경남이 없다`는 경남도민들의 목소리를 귓등으로 들어서는 곤란하다. 3년 전, 지방선거 당시 도민들은 현 정권 실세라는 수식어가 붙은 도지사를 택하면서 경남 발전을 기대했다.

취임 후, 3년이 흘렸다. 도민 목소리를 담은 도정보다 큰 그림에 치중한 도정에 대해 도민은 경남 홀대론, 또는 `허망한 꿈`이라며 심심찮게 내뱉었다. 정책에서 배제된 현안 해결보다 부ㆍ울ㆍ경이란 큰 그림에 기운 도정을 탓해서다.

지난 4월 8일 도지사가 주재한 도청 실ㆍ국ㆍ원장이 참석한 전략회의 때 경남도청 공무원노조의 반발은 대표적 사례다. 이날 신동근 노조위원장은 "부ㆍ울ㆍ경 도지사는 있어도 경남지사는 없다"며 씁쓸한 도정 운영의 단면을 지적했다.

"누구와 함께하는지"도 따지듯 쓴소리도 마다하지 않았다. 시장ㆍ군수도 못마땅해한다. 견해를 달리한다 해도 시장ㆍ군수 회의를 통해 경남 현안을 협의 도출해야 할 도정 운영이 기대와 달리, 시장ㆍ군수 회의는 없었다. 취임 후, 3년이 지나도록 딱, 한 번의 회의에 그친 반면, "더 큰 경남"은 부산을 향했다.

그동안, 밀양공항 건설은 부산 가덕도로 날아가 버렸다. 가덕도로 결정되기 전, 밀양에 대해서는 언급도 않았다. 결정 후, 도지사는 `가덕도신공항이 경제공항`이라며 나섰다. 용역 결과 밀양 우위에도 경남도정 운영은 그랬다.

항만은 더 기가 찬다. 진해항은 100% 경남 해역이지만 도민 반발을 우려한 립서비스일 뿐 부산신항에 속한 항(港)이어서 경남항만공사 설립은 난망이다. 하늘 길, 뱃길을 부산이 가져갔지만 경남도는 복합물류산업 스마트 물류 플랫폼 구축이라며 거든다. 이렇게 부산 변방으로 다가선 느낌을 지울 수 없다.

또 경남도는 30년 물 전쟁인 취수원 다변화에 동의했다. 조건부 동의라지만 부산 물 공급을 위한 취수원 다변화 정책에도 수요량의 절반에 그친 것과 관련, 향후 확장 등 저의를 우려, 거창 합천 창녕 등 도민 반발은 거세다.

이와 달리, 정치적 견해에 따라 도와 시ㆍ군 간 논란도 없지 않다. 도는 지난해 코로나19 확진과 관련, 기관 경고에 진주시는 반발했다. 이면에는 야당 출신 진주시장과 달리 지침을 어긴 민주당 출신 단체장 지역 배제를 겨냥한 것으로 이해된다. 혁신도시 LH 해체론도 야당 출신 단체장은 정부의 해체 수준 혁신(안)을 반대한 반면, 도내 여당 출신 단체장은 반대하지 않았다.

그렇다고 민주당 단체장 간 이견도 없지 않다. 현안인 창원-김해 간 비음산터널 건은 창원이 반대, 논의조차 안 되고 있다. 남해 통영이 신청한 `섬 진흥원`은 유치 경쟁 등은 경남도정의 존재감이나 지도력이 의심받을 정도다.

반면 규모의 경제, 플랫폼, 광역교통, 인재 양성 등 부ㆍ울ㆍ경 메가시티란 큰 그림에 매달렸지만 공유대학을 부산이 거부해 출발부터 스텝이 꼬였다. 전 지사들은 단체장 이견 땐 메가시티가 허상인 사례를 감안, 행정구역 통폐합이 전제돼야 한다고 전한다. 이 경우, 경남의 존폐가 달린 만큼, 시장ㆍ군수를 배제한 추진은 옳지 않다. A 단체장은 "현안을 도내 시장 군수와 공유하는 도정 운영이 경남 발전의 바로미터가 아니겠느냐"면서 "기초단체장과 (회의)소통 않는 경남도, `my way` 도정이 아니라면 그 이유가 매우 궁금하다"는 반응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