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0 23:14 (토)
메가시티 좋아하다 경남 사라진다
메가시티 좋아하다 경남 사라진다
  • 박재근 기자
  • 승인 2021.05.16 22: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진은 경남도청 전경.
사진은 경남도청 전경.

부산 지원 집중 땐 들러리 처지

도 발전ㆍ정체성 우선 정책 필요

동부 불균형 정책부터 바꿔야

경제블록화, 시ㆍ군 발전에 연결

“경남도 발전과 정체성이 우선이죠….” 이는 경남도 등 광역단체들이 초(超)광역경제권 메가시티 구축에 대한 도민 반응이다.

경남은 물론, 타 시도의 경우도 경제블록화에 대한 역작용과 지역주의 또는 정치 영역확장 등이 제기되면서 뒤뚱거리는 등 논란도 적지 않다. 특히 전국 광역시의 메가시티 속도전과 달리, 도는 광역시 빨대현상을 우려, 난색이다. 경제성장과 달리 도시권 빨대현상을 우려해서다. 충청권은 대전시의 제안과 달리, 충남은 엇박자다. 호남의 경우는 광주시의 통폐합 제안에 전남도가 시큰둥한 입장이다. 반면, 전북도는 아예 ‘탈호남’ 기조다. 전북의 독자적 메가시티를 구축해 비수도권 메가시티와 초광역경제협력 관계 구축을 추진한다는 것이다. 이 같은 전북형 메가시티는 호남권 들러리 역할을 해왔다는 것에 기초한다. 전북 지역 내 시ㆍ군간 초광역화 기틀 마련으로 생활적 통합 등 전북발전 전략에 나섰다. 경남이 부울경의 덫에 걸려 들러리 역에 그친 것과 비교된다.

경남의 경우, 창원과 진주를 축으로 한 부ㆍ울ㆍ경 경제블록화가 ‘더 큰 경남’ 성장발판 기대와 달리, 경남도 불균형으로 역차별받는 동부 경남 성장발판 정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도 경계지역 발전 및 정체성 대책을 요구한다. 또 메가시티 근간인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2021∼2030)에도 김해, 밀양, 창녕 등 동부권은 비껴 있다. 대안으로 창원 진입을 위한 비음산 터널 개설을 원한다. 하지만 10년이 지나도록 하세월이다. 때문에 도가 부ㆍ울ㆍ경을 넘어 영남권 경제블럭화를 위한 메가시티 플랫폼 구상에 앞서 경남의 성장발판에 우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이는 도가 서부권(70만 명) 치중 균형발전이 120만 명 동부권에 대한 불균형 정책으로 이어진 것과 무관하지 않다.

한 도민은 "메가시티가 경제발전의 견인역을 한다 해도 부산에 집중된 정부 정책지원의 들러리 역에 그칠 게 뻔하다. 또 경남보다 GRDP가 몇 단계나 낮은 부산은 경제블록의 주체가 될 수 없다"고 말했다.

이어 "코앞인 지역을 감안하면 1시간대 순환열차가 모든 것을 해결해 주지 않는다"면서 "부산 들러리보다는 시 군을 종횡으로 연결하는 등 경남발전 마중물이 될 전략이 더 시급한 것 같다"고 덧붙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