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6 18:21 (화)
"독립운동가 후손의 한 풀어주세요"
"독립운동가 후손의 한 풀어주세요"
  • 이문석 기자
  • 승인 2020.08.03 18:3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재상 경남독립운동연구소 소장

박재선 선생 등 청와대 서훈 청원
박재선 선생

"문재인 대통령님, 독립운동가 후손의 응어리진 한을 풀어주십시오."

하동군 악양면에 거주하는 재야사학자 정재상 경남독립운동연구소 소장이 광복 75주년을 맞아 의령군 출신 3ㆍ1독립운동가 박재선 선생 등 6명에 대한 서훈을 청와대에 청원했다.

정재상 소장은 국가로부터 인정받지 못한 독립운동가 박재선 선생의 독립유공 서훈을 위해 선생의 며느리인 정옥이 씨(87ㆍ창원시 마산합포구)의 요청으로 후손을 대신해 의령군 신반리 3ㆍ1만세운동 주동인사 6명에 대해 문재인 대통령께 청원서를 올렸다고 3일 밝혔다.

이같은 청원은 하동군과 경남독립운동연구소가 3ㆍ1운동 100주년 기념사업으로 독립운동가를 발굴한다는 내용이 알려지면서 박재선 선생의 며느리 정옥이 씨가 윤상기 하동 군수와 정재상 소장을 찾아 도움을 요청하면서 이뤄졌다.

정 소장은 청원서에서 "의령군 출신 박재선 선생은 100년 전 일제의 침탈에 항거해 `대한독립 만세`를 외치면서 몸을 던졌다"며 "3ㆍ1운동 101주년이 지나고 광복 75주년을 맞은 이 시점에도 아직 독립운동가의 예우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분이 있어 그 사연을 호소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선생과 함께 활동하다 징역 10월을 치른 정주성(鄭周成), 징역 6월 김용구(金容九)ㆍ이동호(李東浩), 태형 90대를 받은 최영열(崔永烈)ㆍ박우백(朴又伯) 선생도 독립유공자로 인정해줄 것을 청원했다.

`삼일운동사(국가보훈처 전자사료관)`와 `의령군지` 등에 의하면 박재선 선생은 1919년 3월 15일 의령군 신반리 장터에서 정주성, 황상환, 최한규, 장용환, 김용구, 이동호, 최영열, 박우백 등과 만세시위를 주도하다 검거돼 태형 60대를 선고 받았다.

하지만 선생은 독립유공자로 인정받지 못했다. 함께했던 이들 중 최한규(건국훈장)ㆍ황상환(대통령표창)ㆍ장용환(대통령표창) 선생 3명만 독립유공자로 인정됐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