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6 01:04 (금)
거제형 고용모델 구축 위한 최선의 결단
거제형 고용모델 구축 위한 최선의 결단
  • 한상균 기자
  • 승인 2020.07.22 01:0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상균 지방자치부 본부장

거제형 고용모델을 구축하면서 조선물량 지역 우선 배정 등이 지역의 핫뉴스가로 떠오르며 지역민들의 관심사로 고조되고 있다.

성내공단협의회 이성신 회장의 `중국법인물량 거제업체 배정해야` 한다는 주장이 지역민들의 큰 호응을 불러일으키며 급물살을타고 있는 것도 그만큼 조선 산업 위축에 따른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는 반증이다.

거제는 세계 3대 조선소 가운데 2개 조선소, 빅2를 보유한 그야말로 조선 산업의 메카다. 지난 2010년을 전후로 조선업계는 황금기를 맞았다. 유조선, 컨테이너선, 자동차운반선 등은 선종 대형화 경쟁시대를, 해양플랜트는 다양화됐다. FPU(부유식생산설비), 픽스드 플랫폼(고정식해양설비), TLP반잠수식부유구조행양설비)에서 FPSO(부유식생산ㆍ저장ㆍ하역설비), FLNG FPSO(부유식LNG생산ㆍ저장ㆍ하역설비) 등으로 진화하면서 황금기를 구사했다.

이때만 해도 양대 조선은 원청과 하청을 합쳐 각각 6만여 명의 근로자를 거느릴 정도로 확대일로였지만 지난 2015년 이후 급격한 내리막길을 맞게 된다. 특히, 대단위 고용 창출이 가능한 해양플랜트 물량이 급감한 것이 가장 큰 타격으로 나타난다.

대우조선해양은 해양플랜트 건조가 마감돼 선박건조물량을 해양 쪽으로 분산하면서 일감부족상태를 맞고 있다. 사외업체 배정물량이 거의 고갈된 상태다. 내년에는 더 어렵다는 진단이 나온다. 현재 5년째 선박수주급감사태를 맞으며 사투를 벌이고 있는 양대 조선은 계속된 구조조정과 함께 올 연말까지 8천여 명을 더 감축해야 하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민심까지 들썩이고 있는 이유가 이 같은 실정이 반영된 이유다.

거제경제의 축을 이뤘던 조선산업의 위축은 부동산, 건설 등 기간산업은 물론, 외식산업에 이르기까지 전 분야 산업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게다가 코로나19까지 가세하면서 민생경제까지 타격을 가하고 있다.

그래서 나온 것이 거제형 고용유지 모델 구축이다. 이를 위해 일감이 있어야 되니 외지로 빠져나가는 일감을 지역 업체에 배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대세를 이룬다. 현재 외지로 나가는 물량은 양대 조선 중국법인에서 제작하는 블록과 통영ㆍ고성 등지로 나가는 물량이다.

변광용 시장은 삼성 남준우 사장, 대우조선 이성근 사장을 연이어 면담한 결과 거제형고용유지모델 구축과 상생협의체 구성은 의견일치를 본 것으로 전해진다. 그러나 중국의 물량은 최소한의 법인 유지에 필요한 30~40%밖에 배정하지 않아 그 수준 이하로 떨어지면 폐업에 준하는 결단이 필요하다는 입장이고 인근 지역 배정물량은 거제에서 제작 불가능한 것을 제외하고는 우선 배정한다는 데 의견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고용유지모델은 휴업수당이 가장 큰 문제다. 경영압박을 받고 있는 협력업체가 휴업수당을 지급하면서 일감이 나올 때까지 고용을 유지하는 것은 현재 불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이 재원을 얼마나 정부로부터 끌어올 수 있느냐가 최대의 관건으로 부상하고 있다.

중국 물량과 지역 외로 유출되는 물량이 원청과 하청업체가 클러스터를 이룬 거제를 중심으로 탄탄하게 유지돼야 고용유지가 가능하다는 논리가 설득력을 얻고 있다. 카타르 100척의 LNG운반선, 야말과 아틱 프로젝트 쇄빙LNG운반선, 모잠비크 등의 발주까지 고용유지를 위해 최선의 결단이 요구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