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0 11:38 (토)
도청에 울리는 북소리, 안 듣는 것인가
도청에 울리는 북소리, 안 듣는 것인가
  • 박재근 기자
  • 승인 2020.05.24 18:1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혁신 겉돌고 도정운영 `한 지붕 두 가족`

으로는 기대난. 소통은 옳다면 행해야만

한다. 노무현의 통합정신 경남 도청부터
박재근 대기자ㆍ칼럼니스트

벌써, 지난 23일은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11주년을 맞은 기일이다. 그는 재임기간 동안 `사람 사는 세상`을 위한 개혁과 통합에 앞장섰다. 이로인해 우리사회는 변화의 물결로 가득했고 이는 촛불혁명과 코로나19 사태에도 혼란 없는 지금의 성숙한 시민의식으로 나타났다.

서거 이후 10여 년이 지난 지금, 혁신을 내건 개혁과 통합은 우리사회가 확 바뀐 것을 느끼게 만들었다. 동서갈등도 역사, 문화적 동질성을 바탕으로 역사문화특별법이 제정되면서 화합의 첫 걸음을 내디뎠다. 보수ㆍ진보의 갈등도 패망한 보수정당 수뇌부 교체 후, 5ㆍ18에 앞서 사과와 함께 내민 손을 광주시민들은 화합의 손으로 잡아줬다. 이렇게 큰 물결은 유유히 흘러가고 있다.

하지만, 노무현 전 대통령 비서관으로 그 뜻을 이어갈 것을 기대한 김경수 도지사 취임식 때 쌍수로 환영한 도청노조가 뿔났다. 넘쳐나는 임기제ㆍ별정직 채용과 파격 승진 등이 논란이며 `혁신을 혁신해야 한다`는 소리까지 나온다.

공무원노조는 청사에 3개의 현수막을 내 걸었다. `임기제하는 일 우리도 할 수 있다, 혁신부서 줄여서 현업부서 인원 늘려 달라, 정책 결정 때 직원의견 들어 달라, 새로운 경남 다함께 만들자`라는 내용이다.

이어 보다 구체적인 대자보도 붙였다. 노조홈페이지 게시 글을 출력했다지만 도정운영 바로미터다. 노조와 노조원, 그리고 도청 직원 생각이 확실하게 녹아있는 현수막과 대자보를 내건 가장 큰 이유는 이견이 있다 해도 옳은 주장에 기초한 자신감이다.

경남도청에서 울리는 북소리는 희망을 건의해도 `참고`한다는 응대뿐이란 것에 있다. 혁신부서 운영논란도 회의를 거듭할수록 옳다는 생각만 더 굳어지고 혁신에는 반대가 따르기 마련이란 기승전결로 끝난다. 이견(異見)을 허락하지 않으면 말만 소통이지 불통보다 나은 게 없다. 도민을 위한 도청에서부터 혁신이라는 미명하에 기존 틀은 깡그리 무시하고, 구성원들 건의를 간과한다면 파열음은 극한 상황으로 치달아 통합은 요원할 뿐이다.

김 지사 취임 이후 임기제 공무원 정원은 86명에서 128명으로 48.8%가 늘었다. 같은 기간 실제 근무인원도 개방형 직위 임기제를 포함해 77명에서 115명으로 49.3%가 증가, 타 지자체에 비해 경남도가 전체 인원대비 비율이 가장 높다. 이런 논란에도 지난 23일 섬 가꾸기 보좌관을 임용해 순기능보다 역기능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진다. 이쯤 되면 육지전문가도 필요하지 않겠느냐는 우스갯소리도 나온다.

이 같은 도청상황과는 달리 김 지사는 지방정부를 강조한다. 현 지방자치단체는 중앙정부 하위조직에 불과해 재정권과 인사권 등 하나의 정부로서 역할을 할 수 없다는 주장이다. 지방자치단체를 하나의 정부처럼 운영해야 한다는 취지여서 경남도를 작은 청와대로 운영하고 싶은 듯 비친다. 연방제수준의 분권을 강조하는 만큼, 교육행정도 도정의 역할만큼이나 이끌고 있다.

하지만 도내 기초지자체와의 관계는 남부내륙철도역사와 노선 문제, 창원-김해 간 터널 개설 등 각종 사안에서 삐걱거림이 잦다. 모든게 관계를 정립, 내부지지를 통한 통합을 제대로 이루지 못한 상태에서 외부로 세를 뻗어 나가려고 하는 모순적인 상황으로 비친다. 도청에 울리는 북소리, 지향하는 바가 달라도 곁가지 취급은 물론, 흘려들으면 `한 지붕 두 가족`으로 논란만 증폭될 뿐이다. `근자열원자래(近者說遠者來, 가까이 있는 사람을 기쁘게 하면, 멀리 있는 사람이 찾아온다)`고 논어(論語) 자로편(子路編)은 전한다. 사람 사는 세상을 꿈꾼 노무현 대통령, 그 뜻을 가장 잘 알고 있을 김경수 경남도지사, 그가 근무하고 있는 경남 도청부터 배려하는 따뜻한 세상이 됐으면 좋겠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