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9 09:59 (금)
창원서 왜군 무찌른 안민령 전투 승전비 건립을
창원서 왜군 무찌른 안민령 전투 승전비 건립을
  • 이재희
  • 승인 2019.09.18 22: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 경남도의원(마산합포구) 이재희
전 경남도의원(마산합포구) 이재희

최강ㆍ이달ㆍ안신갑 의병장 대승 거둬

창원 시민 목숨 구한 충 정신 기리기 위해

의병 문화재 행사 공식화 등 추진 나서야

 창원 안민고개는 임진왜란 때 왜군의 전략적 주둔지이자 왜적의 소굴인 안골포와 웅천현에서 창원을 관통해 한양으로 진입할 수 있는 유일한 관문이었다.

 1593년(선조 26) 9월 하순경 김해에 있던 왜장이 거느리는 군사와 안민고개에서 전투가 벌어졌다. 이때 고성의 의병장 최강 장군을 필두로 우측에는 고성의 의병장 이달 장군, 좌측에는 함안의 안신갑 장군이 수많은 의병들과 함께 안민령 전투에 급파돼 종횡무진 적진을 피로 물들이게 하고 대승을 거뒀고, 후일 육전 승리사로 유명한 안민령전투로 명명됐다고 한다.

 또한 백성을 편안하게 지낼 수 있게 했다 해 안민이란 지명이 내려졌고, 선조임금은 정충보국과 충의 정신을 높이 치하해 창원 도호부를 창원대 도호부로 승격 시켜줬다 한다. 그럼 세분 의병 장군들의 면면을 살펴보도록 하자.

△최강 장군(1559~1614)

 본관은 전주최씨. 경남 고성에서 의병을 일으켜 진주, 웅천, 진해에서 공을 세워, 오위도 총부경력이 되고 가리포 첨절제사에 승진해 왜적을 무찔러 순천부사, 경상좌도수군 절도사, 포도대장에 임명하기도 했다.

△이달 장군(1561~1618)

 임진왜란 선무 원종 공신 고성의 의병장으로, 호는 운포, 본관은 함안이씨, 의병장, 곽재우, 최강, 최균 등과 왜적에게 포위된 진주성 방어전에 전공을 세워 훈련원장에 특임되셨다. 이어 권무과에 급제해 1614(광해군6)에 양산 군수를 지내셨고, 선전관에 임명돼 상경하던 중 영창대군의 폐위 모의를 개탄하여 일부러 말에서 떨어져 팔을 부러뜨려 후세에 전한 북풍시를 남기면서 부당한 임금의 명을 거절했고, 또다시 삼도통제우후에 임명됐으나, 결코 부임하지 않았다. 그 후 동지 중추부사에 올랐으며, 사후에 병조판서를 제수받으셨다. (조선왕조실록, 임진록)

*필자의 13대 할아버지

△안신갑 장군(1544~1597)

 함안 출신으로 왜장 쿠로다 요시타카의 대병력과 김해에서 전투를 하다가 전멸한 부친이신 안민 선생의 원수를 갚고 나라의 치욕을 설욕하고자 뜻을 세우고 의병장이 되셨다.

 이달 장군 어머니는 전주최씨, 어머니의 사촌 형제가 최강, 최균 장군이셨고, 이달 장군과는 외 오촌아제가 되고 종생질이였다. 안신갑 장군께는 최강 장군이 외삼촌이시고 생질이시니 이들이 나라를 구하기 위해 함께한 혈맹의 안민 전투가 대승을 이끌 수 있었던 것이다.

 필자는 세 분의 의병장들께서 나라의 위급사태를 막아내고, 창원시민의 목숨을 구한 충의 정신을 후손들이 이어받을 수 있도록 조속히 소공원을 조성하고 의병승전비를 세워 구국정신의 역사적 현장이 되기를 바라면서, 창원시정을 책임지고 있는 두 분께 건의한 바 있었다. 그렇다면 창원시민은 과연 육전 승전사 안민령 전투를 알고나 있을까?

 창원시청 로터리에서 도청으로 향하는 곳에 최윤덕 장군의 동상이 호화스럽게 세워져 있는 것을 보지 않았던가? 이달 장군의 13대 후손으로써 때늦은 감이 있지만 철저한 역사적 고증을 통해 안민령전투 승전비 건립은 물론 작년에 추진위원회에서 개최한 의병 문화재 행사를 공식화하기를 제안하는 바이다.

 풍전등화 같은 우리나라의 어려운 난국을 이순신 장군은 바다에서, 세 장군은 육지에서 전공을 세운 당대의 영웅들이 아닌가?

 또한 창원시는 최강 장군의 전라도 완도읍에 세워진 가리포 해전 대첩비, 이달 장군의 또 다른 대첩비를 전수조사해 부끄러운 일이지만 지금이라도 마케팅해 공적을 바로 세워 후손에게 널리 전해야 할 것이다.

 경남 도내에서 세수가 가장 적은 의령군의 의병문화제전은 곽재우 장군을 추앙하는 군민의 축제로써 보는 이로 하여금 가슴 뭉클한 애국정신을 가다듬게 했다. 홍의장군 곽재우 장군과 수많은 전투에서 다 함께 전공을 세웠는데도 이름조차 모르고 있었다는 것은 참으로 대오각성하지 않을 수 없다.

 이순신 장군께서는 진해만에서 해군으로, 세 분 장군은 안민고개에서 육군으로 전략을 함께해온 육전 승전사 안민령 전투를 창원시민은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