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3 19:31 (화)
[기획/특집]조혈줄기세포 이동 관여 단백질 규명됐다
[기획/특집]조혈줄기세포 이동 관여 단백질 규명됐다
  • 연합뉴스
  • 승인 2019.08.07 23: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태훈 고려대 교수 연구팀이 조혈 줄기ㆍ전구세포(HSPCs), 골수암 세포의 활성을 조절할 수 있는 신약 표적을 발굴했다
전태훈 고려대 교수 연구팀이 조혈 줄기ㆍ전구세포(HSPCs), 골수암 세포의 활성을 조절할 수 있는 신약 표적을 발굴했다

‘면역질환치료제 새 표적’ 치료제 사용

전태훈 고려대 교수팀 연구 성과

“골수 이식ㆍ골수암 환자 적용 가능”

 혈액 세포의 시초가 되는 조혈 줄기세포의 이동에 관여해 특정 질환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는 단백질이 고려대 연구팀에 의해 규명됐다.

 한국연구재단은 6일 전태훈 고려대 교수 연구팀이 조혈 줄기ㆍ전구세포(HSPCs), 골수암 세포의 활성을 조절할 수 있는 신약 표적을 발굴했다고 밝혔다.

 조혈 줄기ㆍ전구세포는 골수에서 만들어진 뒤 말초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여러 면역세포를 재생시킨다. 골수 내 존재하는 조혈 줄기세포는 혈액에 존재하는 모든 세포(적혈구ㆍ백혈구), 혈소판을 생성한다. 이에따라 조혈 줄기 세포 등의 이동 과정은 면역질환 치료제를 개발하는 주요 표적이 돼 왔다.

 연구팀은 폴리콤(polycomb) 단백질이 골수 내 미세 환경을 변화시켜 조혈 줄기ㆍ전구세포가 말초로 이동하는 과정을 돕는 사실을 밝혀냈다.

 폴리콤 단백질은 히스톤 단백질의 변형(메틸화ㆍ유비퀴틴화 등)을 통해 유전정보를 담고 있는 크로마틴 구조를 변화시킴으로써 해당 위치의 유전자 발현을 억제한다. 실제 폴리콤 단백질이 없는 생쥐의 흉선ㆍ비장에서는 면역세포 감소에 따른 면역결핍이 일어났다. 조혈 줄기ㆍ전구세포가 말초로 이동하는데 제한을 받았기 때문이다.

 전 교수는 “조혈 줄기세포가 골수 내에 자리 잡으려면 세포 표면단백질(VLA-4)과 골수기질세포 단백질(VCAM-1)의 결합이 필수적”이라며 “폴리콤 단백질은 골수기질세포 단백질의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둘 간의 결합을 막는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폴리콤 단백질이 결핍된 생쥐의 골수 내에서 약물을 통해 폴리콤 단백질이 기능하듯 두 단백질의 결합을 억제했더니 다시 면역세포가 재생되는 것을 확인했다.

 전 교수는 “이 연구는 조혈 줄기ㆍ전구세포의 활성을 조절할 수 있는 토대를 만들었다는 데 의의가 있다”며 “앞으로 이를 이용한 새로운 치료제가 골수 이식 환자나 골수암 환자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지난 2일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에 게재됐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