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6 01:27 (금)
낙동강 수질개선 이것 안 하면 헛일
낙동강 수질개선 이것 안 하면 헛일
  • 박재근 기자
  • 승인 2019.06.13 22: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경남도 맑은 물 정책 최우선 2025년까지 1급수 개선 추진
상류 공해공장 감시 더 절실 중금속 등 유입방지책 세워야
상류 오염업체 단속과 지류 오폐수 유입차단 ‘일차 과제’부터 풀어야

 “죽음의 강 낙동강, 1천300만 영남인의 수질개선은 강 상류 공장에서 발생되는 중금속과 지선 오폐수 유입차단이 우선….” 경남도가 죽음의 강으로 변한 식수원 낙동강을 ‘맑은 물’ 공급을 위한 수질개선에 나선다.

 이를 위해서는 낙동강 상류에는 페놀사태를 발생케 한 중금속과 유해화학 업체에서 배출되는 유해물질의 낙동강 유입 방지대책이 시급하다. 당국은 아연제련소를 비롯한 유해화학 업체에 대해 경고, 개선명령, 시설 사용 중지, 과태료 부과, 조업정지 등에도 시정되지 않고 있다.

 환경단체들은 이들 업체와 지류 오폐수 유입으로 낙동강은 갈수기 때면 공업용수 사용도 불가능한 경우도 잦아 방지대책이 시급하다는 것이다.

 김경수 지사는 부산시장이 도민이 반대하는 ‘남강댐 물 포기’ 발언 후 “부산시의 발표를 환영하며, 낙동강 수질 개선 정책을 최우선으로 추진해 갈 것”이라고 밝혔다. 도는 수질개선 종합대책에 따라 ‘다 함께 누리는 낙동강, 안전하고 건강한 물환경 조성’이라는 비전으로 현재 2등급인 낙동강 수질을 오는 2025년까지 2조 708억 원을 투입, 1등급 개선사업도 추진키로 했다. 올해 1천626억 원을 투입해 하수처리장 41개소를 건설하고 하수관로와 가축분뇨 공공처리 시설 등을 확충할 예정이다. 또한 낙동강 유입 하천인 의령천과 양산천 등 9개소에서 통합ㆍ집중형 오염하천 개선 사업을 추진한다.

 문제는 1천300만 영남인의 식수원인 낙동강 상류의 공해공장 가동으로 발생하는 카드뮴과 페놀 등 유입으로 소동을 빚은 바 있고 지류의 폐수유입 등의 방지대책이 시급하다. 또 갈수기 때면 원수가 공업용수로도 사용할 수 없을 정도다. 환경 단체들은 공장 상류에는 많던 다슬기가 하류로는 서식하지 않고 철새와 물고기의 떼죽음도 빈번하다고 주장한다.

 이 때문에 상류지역에 위치한 Y그룹의 S제련소와 구미 및 김천권역의 K사 등 화학공장 폐수 대책 등이 시급하다. 가장 큰 난제는 낙동강 발원지인 태백시 황지연못에서 20㎞쯤 떨어져 자리 잡은 S제련소다. 아연 제련소에서 나오는 카드뮴은 공해병 중 하나인 이타이이타이병 원인 물질이다.

 환경부는 지난달 경북도와 협의해 120일 조업 정지 처분 방침을 영풍 측에 통보했다. 오는 19일 청문절치를 거쳐 최종 처분이 결정된다.

 앞서 환경부가 지난 4월 17~19일 집중 점검을 했다. 단속팀은 85곳 강물 시료를 채취해 수질 분석한 결과 1공장 옆 고인 물과 공장 내 지하수 관정 33곳의 시료도 모두 카드뮴이 공업용수 기준치 이상 검출됐다.

 지난 6년여 동안 환경 당국이 지도 점검을 나간 횟수만 38차례다. 경고, 개선 명령, 시설 사용 중지, 과태료 부과, 고발 등 처벌 건수는 48건이나 된다. 작년 2월엔 중금속 폐수 유출이 적발돼 조업 정지 20일 처분을 받았다. 업체는 조업 정지 처분 취소 소송을 내 재판이 진행 중이다.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3일부터 물관리기본법이 시행되면 ‘국가 물 관리위원회’와 더불어 ‘낙동강 유역 물관리위원회’가 설립된다.

 낙동강유역위원회는 경남ㆍ부산ㆍ울산ㆍ대구ㆍ경북 5개 지자체와 낙동강유역환경청 등 전문가와 주민 대표 등도 참여한다. 낙동강 유역 물관리위원회는 6월 중 출범할 예정이다.

 조용정 경남도 수질관리과장은 “낙동강 유역 물관리위원회가 출범하면 수질개선 사업이 본격화될 것이다”며 “갈수기를 대비해 경남도 차원의 노력도 지속적으로 펼치겠다”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