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9 22:04 (금)
PLS 정착 위한 관계 당국 대책 시급
PLS 정착 위한 관계 당국 대책 시급
  • 한상균 기자
  • 승인 2019.04.17 23: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상균 지방자치부 남부본부장
한상균 지방자치부 남부본부장

 계절의 변화가 빠르다는 것을 실감하는 것이 사계절 중 봄인 것 같다.

 지난 3월 말께부터 온누리를 꽃으로 물들인 벚꽃이 봄의 전령사로 봄을 알리는가 싶었는데 벌써 꽃잎은 간곳 없고 잎사귀가 가지를 덮었다.

 봄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면서 농촌이 출렁거린다.

 올봄은 냉해도 없이 간간이 봄비도 가세해 적절한 영농조건을 갖춘 탓도 있으려니와 귀농 인구가 증가하고 농지를 늘릴 수 없는 부담감 때문에 텃밭 가꾸기 욕구도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이런 추세에 편승돼 시장에서도 가장 특수를 누리는 업종이 각종 채소 모종과 묘목을 파는 곳이다. 고추, 오이, 가지 등 열매채소를 비롯해 쌈 채소 등 그 수를 헤아리기조차 어려울 정도로 넘쳐난다.

 신품종 과수 묘목에서 부터 약용작물까지 그 종류도 다양하다.

 재배농가는 늘어나지만 재배 방법이 문제다.

 특히, 농약을 사용하지 않으면 조기의 성과를 얻지 못하는 것이 농사라는 점에서 봄철 영농관리는 성패를 좌우하는 시기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농약사용은 필수적이다.

 특히, 농약에 대한 사용 경험이 전무한 귀농인, 도시농부, 텃밭 가꾸기에 도전한 불특정 다수에게는 이 문제가 심각하게 다가온다.

 이에 정부는 농약의 오남용과 식물에 적용 가능한 농약을 제도적으로 관리한다는 것이다.

 그렇지만 올 1월 1일부터 시행된 `농약허용물질목록관리제도(PLS)`가 제대로 적용될지 의문시되고 있어 대책이 시급하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올해 이 제도의 시행을 1개월 앞둔 지난해 11월 `농업농촌에 대한 국민의식 조사` 결과에 따르면 도시민 92.8%가 PLS를 전혀 모른다는 것이다.

 농업을 주업으로 하는 농업인도 PLS를 모른다는 응답이 31.3%, 올해 이 제도를 전면 시행도 모른다는 답변이 34%였다는 것이다.

 설사 알고 있는 전문 농업인이나 도시농부들도 작물별로 동록제한, 미등록 농약의 일람표는 갖고 있을지라도 실제 적용은 어렵다는 것이 현실이다.

 올해 시행되는 PLS 대상 농약은 식량 작물(벼, 감자, 고구마) 3종에 등록제한 13종, 미등록 21종, 과수(감, 감귤, 배, 복숭아, 사과, 포도) 등 6종을 비롯해 일반 채소 10종, 과채류 7종, 소면적 작물 12종에 각각 등록제한과 미등록 농약을 명시하고 있다.

 이렇게 등록제한과 미등록 농약을 지정 작물에 한정적으로 지정은 했지만 일일이 사용자가 비교해 가며 사용하기란 녹록지 않다는 것이 현실적인 측면이다.

 사용자가 잘 모르는 데다, 전에 사용하던 농약을 그대로 사용할 개연성이 있고 판매처에서도 재고 농약을 폐기하거나 반납 처리하지 않았을 때 문제는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농촌 실정이 고령자라는 점에서 사용하던 농약을 폐기하는 것은 쉽지 않다.

 실례로, 대부분 농가에서 아직도 농약을 사용할 때 진딧물, 역병, 탄저병 등 2~3종을 혼용하거나 규정 용량을 신뢰하지 못하는 것이 전반적인 농촌의 실정이라는 점에서 더욱더 그렇다.

 게다가 사용 농약을 반납받거나 처리하는 기관이 없다는 것도 문제를 악화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거제시농업기술센터 옥치군 과장은 "그동안 농가에서 진딧물 방제용으로 메티다티온 성분이 들어있는 농약을 일부 과수 등에서 사용해왔지만 올해부터 이 성분의 농약을 사용하지 못한다. 정부에서 `메티다티온` 성분을 등록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동안 특정 작물에 관행적으로 사용했던 농약 성분은 PLS 시행으로 사용할 수 없는 농약이 상당히 많다"며 따라서 농약을 고를 때 농약 표지 라벨에 적힌 성분을 꼼꼼히 살펴야 한다고 설명했다.

 지금 농촌은 묘목심기에 한창 바쁜 시기를 맞았다. 가정 먼저 사용해야 할 농약이 진딧물 제재다.

 PLS 시행으로 적정 농약을 사용해야 할 전기를 마련한 이상, 농가가 순리적으로 적응할 수 있는 발 빠른 관계당국의 대책이 시급해 보인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