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1 00:40 (일)
하동 ‘독립선언서’ 서명 이병홍 지사, 순국 100년 후 무덤 확인
하동 ‘독립선언서’ 서명 이병홍 지사, 순국 100년 후 무덤 확인
  • 이문석 기자
  • 승인 2019.02.14 23:2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하동군 진교면 고이리 고외 마안곡 소재한 이병홍 지사의 묘비와 무덤.
하동군 진교면 고이리 고외 마안곡 소재한 이병홍 지사의 묘비와 무덤.

묘비에 본관ㆍ출생ㆍ사망 일자ㆍ건립연도ㆍ비문 작성자 등 명기

1920년 상해 임시정부 김홍권 선생, 한글 헌시 지어 비 건립

군ㆍ경남독립운동연구소ㆍ합천이씨 종중, 서훈 함께 추진

 하동군과 경남독립운동연구소는 1919년 하동 ‘대한독립선언서’에 서명한 후 행적을 알 수 없었던 하동 출신 독립운동가 죽헌(竹軒) 이병홍(李炳鴻ㆍ1896∼1919ㆍ양보면 박달리) 지사가 3ㆍ1 만세운동 후 6개월 만에 순국한 것으로 100년 전 세운 무덤 묘비에서 최근 확인, 정부 서훈을 추진키로 했다.

 비문을 분석한 재야사학자 정재상 경남독립운동연구소장은 이 비는 1920년 독립운동가 김홍권(1892∼1937ㆍ건국훈장ㆍ양보면) 선생이 비문을 짓고 합천이씨 종중과 함께 세운 것이라고 밝혔다.

 이병홍 지사의 묘비 발굴은 지난해 3월부터 하동군과 경남독립운동연구소가 3ㆍ1운동 100주년 기념사업으로 군내 미발굴ㆍ미포상 독립운동가 찾기 전수조사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양보면 거주 이현철(56ㆍ양보합동양조장 대표) 씨의 제보로 하동군 진교면 고외 마안곡에서 묘소를 찾아 대한독립선언서에 서명한 이병홍 지사임을 밝혔다.

 정재상 소장은 “이 지사가 1919년 음력 윤 7월에 세상을 떠나자 벗이자 동지였던 김홍권(당시 상해 임시정부 의정원 의원)이 1920년 3월 순수 한글로 비문을 짓고 세운 것으로 비에는 본관ㆍ출생ㆍ사망 일자ㆍ건립연도ㆍ비문 작성자 등이 기록돼 있다”고 말했다.

 정 소장은 “비문을 작성한 김홍권 선생은 3ㆍ1운동 이후 중국으로 건너가 상해 임시정부에서 활동한 인물로 이병홍 지사와는 진주공립농업학교(현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선후배 관계이며, 김홍권이 2회 졸업생으로 2년 선배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처가가 합천 이씨로 이병홍과는 인척지간이다. 김홍권은 이병홍이 세상을 떠났다는 소식을 접하고도 곧바로 문상을 하지 못한 것은 일제 감시 때문으로 생각된다”며 “벗이 세상을 떠난 지 8개월 후에 찾아와 비를 세우고 애도한 것으로 본다”고 덧붙였다.

 묘비의 앞면에는 ‘志士陜川李君炳鴻之墓(지사합천이군병홍지묘)’라 새겨져 있으며 뒷면에는 순수 한글로 ‘∼ 뜻을 이루지 못하고 ∼ 저버린 님이여, 너의 뼈는 썩을지라도 혼은 꺼지지 않을지니 ∼’라는 내용과 벗 金弘權(김홍권)이라 적혀있다.

 그리고 양 측면에는 ‘庚申 三月(경신 3월 (1920))과 光武元年 丙申(광무원년 병신(1896) 八月 二十四日 生(8월 24일생) 己未 閏 七月 十三日 卒(기미(1919년) 윤 7월 13일 졸) 年 二十四(년 24)’이라 적혀있다.

 한편, 이 지사는 1915년 진주공립농업학교 3년 졸업 후 하동읍내에서 대서소(代書所)를 운영했다.

 그러던 중 1919년 3월 박치화(건국훈장), 이범호(대통령표창), 정낙영(대통령표창) 등 12명과 자신이 운영하던 대서소에서 은밀히 모여 ‘대한독립선언서’를 작성해 3월 18일 하동장날 독립선언서를 낭독하고 군중 1천500여 명과 함께 만세시위를 벌였다.

 이후 주동자로 몰린 박치화는 일본경찰에 연행돼 진주법원에서 징역 1년형을 받았으며, 사무실을 독립운동 근거지로 이용한 이병홍 지사는 징역 6개월 형을 받았다.

 박치화는 항소했으나 이병홍은 항소를 포기하고 진주형무소에서 옥고를 치렀다. 하지만 감옥에서 얻은 병으로 출옥 3일 만에 세상을 떠났다. 향년 24세였다.

 이 지사는 세상을 떠났지만 그가 서명하고 남긴 하동 ‘대한독립선언서’는 지난 2015년 민족대표 33인이 서명한 기미독립선언서와 함께 국가지정 기록물 제12호로 등록돼 독립기념관에 전시돼 있다.

 한편, 묘소 위치에 관해 제보한 종중 후손 이현철 씨는 “집안 어른(이병홍)께서 3ㆍ1운동을 하다 돌아가셨다는 이야기를 부친으로부터 전해 들었으나 그동안 관심을 갖지 못해 죄스럽다”며 “늦었지만 목숨 바친 선대 할아버지에 대한 정부의 온당한 평가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윤상기 군수는 “하동 ‘대한독립선언서’에 서명한 애국지사 12인의 행적이 한 분 한 분 밝혀지고 있어 3ㆍ1운동 100주년의 의미를 더욱 뜻있게 하고 있다”며 “하동군이 추진하는 미발굴 독립운동가 찾기 전수조사를 통해 독립운동가를 한 분이라도 더 찾는데 경남독립운동연구소와 함께 힘쓰겠다”고 말했다.

 정재상 소장은 “독립의 꿈을 이루지 못한 이병홍 선생의 짧은 생을, 벗이자 동지인 김홍권 선생이 한편의 시로 위로했다”며 “이 비문은 순수 한글로 지어 민족독립의지를 강하게 보여준 것으로 평가된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