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6 04:41 (금)
지하시설물 종합 관리대책 시급하다
지하시설물 종합 관리대책 시급하다
  • 경남매일
  • 승인 2018.12.10 17:3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 4일 밤 경기도 고양시 백석역 인근에서 열 수송관이 파열돼 섭씨 100도의 뜨거운 물이 도로에 쏟아졌다. 이 사고로 69살 손모 씨가 숨지고 23명이 다쳤다. 앞서 지난달 24일에는 KT 아현지사 건물 지하 통신구에서 화재가 발생해 일대에 통신이 끊어져 교통, 안전, 금융 시스템이 마비됐다.

 어처구니없는 사고였다. 주목할 것은 이들 사고에는 공통점이 있다. 모두 일반인들의 눈에는 보이지 않는 곳에서 일어났다는 점이다. 또 국민의 삶과 매우 밀접한 시설들에 문제가 발생했다는 점도 똑같다. 국민 생활에 밀접한 시설인 만큼 불편과 혼란은 컸고 인명피해까지 발생했다.

 도시를 마비시킨 기반시설 사고는 그동안에도 여러 번 있었다. 1994년 동대문역 인근 지하 KT 통신구 화재, 1997년에는 마포구 공덕동에서 굴착작업 중 발생한 도시가스관 폭발사고가 있었다. 상수도관을 건드려 수돗물 공급이 끊기고 대형 싱크홀 사고로 이어진 경우도 수시로 발생하고 있다.

 전국 열송수관의 3분의 1이 매설 후 20년이 지났다고 한다. 보이지 않는 ‘시한폭탄’은 또 있다. 전국 상수도관의 30%는 설치한 지 20년이 넘었고 하수관로는 전체의 40% 가까이가 20년 이상 된 노후시설이다. 준공시점조차 확인이 어려운 통신선로나 도시가스배관 등의 노후화도 심각하다

 사고를 100% 예방하는 건 불가능하다. 하지만 충분히 예견할 수 있는 위험요인이라면 예방조치만으로 발생률을 크게 낮출 수 있다. 천재지변이 아닌 시설상의 문제 때문인 사고라면 예방책은 의외로 간단하다. 노후한 시설과 설비를 교체하거나 개보수하는 등 투자가 곧 최선의 예방책이다.

 또 체계적인 관리가 안 되는 것도 문제다. 시설물마다 관리주체가 다르고 특히 민간이 설치한 지하시설물은 아예 관리 사각지대이다. 지하시설물 전체에 대해 체계적으로 통합 관리ㆍ감독을 해야 한다. 여기에 지하시설을 개선해 나갈 수 있도록 예산을 수반한 실효성 있는 제도와 방지대책이 이제는 나와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