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5 14:26 (목)
도난당한 창원 상천리 석조여래좌상 회수
도난당한 창원 상천리 석조여래좌상 회수
  • 김중걸 기자
  • 승인 2018.11.27 18:3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사진은 지난 2013년 1월 도난당한 창원 상천리 석조여래좌상.

문화재청, 울산 신흥사 승탑부재도

조선 후기 석조물 양식 규명 가치

 문화재청 사범단속반은 지난 2000년 10월 도난당한 울산 신흥사 승탑부재(1701년 제작)와 2013년 1월 도난당한 창원 상천리 석조여래좌상(조선 시대) 등 석조 불교문화재 2점을 27일 오전에 회수했다고 밝혔다.

 회수된 문화재들은 본래 울산시 신흥사와 창원시 상천리 폐사지에 있다가 도난된 것들로, 이후 개인 자택 등지에서 은닉되고 있다가 적발됐다.

 신흥사 승탑부재는 사각의 석재에 ‘康熙四十辛□愚堂大師□□巳三月日’(강희사십신□우당대사□□사삼월일)로 확인된 명문이 오목새김(음각) 돼 있다. ‘□愚堂大師’(□우당대사)라는 명문을 통해 청나라 강희제 재위 40년인 1701년에 조성된 승탑인 것을 알 수 있다.

 사각의 석재는 조선 시대 일반적인 종형 승탑의 형태와는 차이가 있는 특이한 사례로, 경남지역 불교 유적지에서 이러한 형태의 석재와 연관성이 있는 자료들을 찾을 수 있다. 이 승탑부재에는 연꽃을 돋을새김(양각)한 면석이 있는데, 울산 신흥사의 승탑석재와 동일한 문양이다.

 이 승탑부재는 현재 비지정문화재이나, 울산ㆍ경남 지역의 조선후기 승탑과 비교 검토가 이뤄진다면 기념비적인 자료가 될 수 있다. 주변 지역 승탑과의 시기적, 지역적인 유사성을 논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며, 조선후기 석조물의 양식을 규명하는데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창원시 상천리 석조여래좌상의 경우 불두(佛頭, 부처의 머리)를 확인할 수 없지만 통견식(通肩式, 양쪽 어깨를 모두 덮는 형식)의 대의를 입고 가부좌한 모습을 볼 때 여래상으로 판단된다. 여래상은 둔중한 체구에 불신의 양감이 적고 결가부좌한 양발이 모두 드러나 있으며, 옷자락을 잡은 수인의 형태 등에서 조선 시대 지방에서 조성된 불상으로 추정할 수 있으며 문화재적 가치가 높은 여래상으로 평가할 수 있다.

 현재 석조여래좌상은 국립 창원대학교 박물관에서 보관ㆍ관리되고 있으며, 승탑부재의 경우 울산시와 신흥사 관계자간 협의를 통해 인수ㆍ인계될 예정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