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9 11:22 (금)
축산재앙 방역시스템 재정비 서둘길
축산재앙 방역시스템 재정비 서둘길
  • 경남매일
  • 승인 2017.02.13 2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조류인플루엔자(AI)에서 구제역으로 이어진 올겨울 가축 전염병 확산으로 새로운 방역대책을 수립해야 한다는 지적이 대두되고 있다.

 가축 전염병이 매년 되풀이되면서 방역과 살처분 비용, 또 이로 인한 보상액도 수조 원에 달한다. 보다 체계적이고 근본적인 대책을 세워 밑 빠진 독에 물 붓는 식으로 없어지는 재정 지출을 막아보자는 것이다.

 이러한 축산 재앙은 여기서 끝이 아니다. 축산업 기반을 흔드는 것은 물론 잇단 행사 취소에 관광객 감소로 지역경제마저 위축되는 악순환이 되풀이되는 것이다.

 2000년 창궐하기 시작한 구제역은 지난해까지 모두 8차례 발생했다. 올해는 기존 O형에 전례가 별로 없던 A형까지 2개 유형의 바이러스가 동시 유입되면서 예방대책의 근간마저 흔들린다.

 지난 16년간 구제역으로 인해 들어간 혈세만 해도 3조 3천127억 원에 달한다. AI의 경우에도 2003년 발생 이후 올해까지 총 2조 7천383억 원의 재정이 투입됐다.

 경남의 경우 2003년 이후 AI 6번, 구제역은 2010년 이후 3번 발생했다. 이로 인한 1천억 원대의 방역비와 보상비를 비롯해 농가 생계안정자금, 연관 산업에 미친 기회손실 비용까지 합치면 피해 규모가 1조 원에 육박할 것으로 추산된다.

 이러한 결과들은 가축 전염병 방역체계 변환의 필요성으로 이어진다. 올겨울 구제역으로 인한 백신 논란은 백신이 유일한 대책이 아니라는 지적을 뒷받침한다.

 가축 전염병은 갈수록 독성이 강해지고 변종이 발생하는 속도도 더 빨라지고 있는데 방역대책은 항상 뒷북을 치고 있다. 백신에 기댈 것이 아니라 철저한 차단 방역시스템을 수립하는 것이 급선무라는 얘기가 설득력을 얻는 대목이다.

 전문가들도 백신 접종을 하더라도 축사 소독과 출입 통제를 철저히 하지 않으면 방역에 실패할 수 있다고 조언한다.

 아직도 진행형인 올겨울 축산재앙을 거울삼아 축산당국은 국내 가축 전염병 방역 시스템을 재정비해야 할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