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5 12:51 (목)
도민 열받게 하는 의원님들
도민 열받게 하는 의원님들
  • 박재근 기자
  • 승인 2016.07.10 20:1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박재근 본사 전무이사
 도대체 성한 구석이 없고 갑(甲)질이 일상적이며 곳곳에서 추태가 드러나고 있다. 진작부터 큰 기대는 없었지만 해도 너무한다. 때문에 5공 시절 TV 연속극 대사로 유행했던 “민나 도로보 데스(모두가 도둑놈이다)”란 일본말이 불현듯 생각날 정도다. 모두는 아니지만 경남 출신 국회의원이나 지방의원의 언행이나 처신(處身)이 도민 망신살을 뻗치게 하는 사례가 비일비재하기 때문이다.

 20대 국회가 출범한 지 얼마 안 돼 경남 출신 의원들이 ‘도덕성’ 논란에 휩싸이면서 구설수에 올랐다. 새누리당 이군현 의원(통영ㆍ고성)은 4년에 걸쳐 보좌진 월급에서 2억 4천400만 원을 되돌려 받아 검찰에 고발됐다. 또 박대출 의원(진주갑)ㆍ강석진 의원(산청ㆍ함양ㆍ거창ㆍ합천)은 ‘친인척 채용’ 논란으로 정치권을 떠들썩하게 만든 의원들 중 한 명이다. 이처럼 출발부터 경남의원들이 깊은 나락으로 떨어지고 있다.

 이 와중에 지방의원은 한술 더 뜬다. 지역일꾼은커녕 국회의원 수족 노릇을 하는 게 공공연한 비밀이지만, 그 후의 처신은 딴판이다. ‘풀뿌리 민주주의의 전도사’란 빈말일 뿐 ‘갑(甲)질을 행세하는 완장’으로 변질돼 버린 느낌이다. 이에 더해 금품수수, 사전 담합행위, 비례대표직 전ㆍ후반기 나눠 먹기 밀약 파문, 폭력사태 등 그야말로 부조리의 경연장을 방불케 한다.

 광역과 기초, 도시와 농촌을 가리지 않는다. 경남도내 도 및 시ㆍ군의회가 원 구성을 둘러싸고 벌이는 추태는 조폭 수준이다. 현 지방의회의 후반기 2년의 원 구성을 놓고 벌이는 감투싸움의 볼썽사나운 짓거리는 연례행사 수준을 넘어 끝이 없다. 지방자치단체장과 집행부를 감시하고 견제해야 할 지방의회 본연의 기능을 망각하고, 유권자인 경남도민을 우롱하는 처사임이 분명하다. 의장단 자리를 나눠 먹기 위한 ‘피의 각서’, ‘낯 뜨거운 추태’, ‘야합과 배신’, ‘나눠 먹기 담합’ 등 조폭들의 일상을 그린 소설이나 막장드라마라도 이럴 수는 없다.

 담합 혈서 각서로 충격을 준 의령군의회 의장선거, 돈 선거 의혹이 불거진 김해시 의장선거, 배신의원을 출당 조치하라는 양산시의회 의장단 선거 후폭풍, 의장선거를 놓고 양분돼 식물의회로 가고 있는 사천시의회, 계파싸움으로 원 구성이 지연되고 있는 거창군의회, 돈 선거로 사법기관의 수사가 불가피한 창녕군의회 등 도내 시ㆍ군 의회마다 알짜 상임위 배정을 둘러싼 갈등 등 천태만상이다. ‘의장’ 자리를 차지하기 위해 동료 의원을 매수하는 금품수수가 대표적인 불법 관행으로 되풀이되고 부의장과 상임위원장직, 상임위 배분을 놓고도 치열한 물밑 경쟁과 담합행위가 이뤄지고, 그 과정에서 각종 부작용이 드러나고 있다.

 어디 이것뿐이겠는가. 도(道)가 지나친 갑(甲)질 등 부적절한 처신으로 여론의 뭇매를 맞은 의원도 부지기수다. 이것이 풀뿌리민주주의란 시군의회 현주소다. 부활 25년을 맞은 지방의회가 아직도 불신을 사고 있는 것은 개탄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지만 조폭 뺨치는 담합 추태를 보여준 막장 드라마다. 1995년 무보수 명예직에서 출발, 2006년부터 보수와 특혜를 누리는 집단으로 행세하지만 감사 사각지대, 관광성 외유, 이권개입, 인사 청탁, 혈세 낭비 등 실상은 구린내가 풀풀 풍긴다. 풀뿌리 민주주의가 근본부터 흔들리는 게 아니냐는 우려다.

 그런데도 걸핏하면 세비 인상과 보좌관 도입을 요구한다. 재정자립도가 바닥인 지방 곳간을 챙겨야 할 지방의회가 제 밥그릇만 챙기려는 끝 모를 탐욕이 이어지니 지방의회 무용론까지 나온다. 일부 의원은 이권을 챙기려 하거나 군림하려는 등 집행부에 대한 견제는커녕, 호가호위하며 나댄다. 또 갑(甲)질은 날로 더해 은근슬쩍 윽박지르고 안 되면 회기 때 신상 발언을 통한 면박 주기 등 다양하다. 자질도 문제지만 탐욕도 지나치다.

 여야가 2012년 대선에서 기초의원 공천 폐지를 공약한 것은 문제의 심각성을 공감했기 때문이다. 그러고는 선거가 끝나자 없던 일처럼 돼 버렸다. 당초, 2006년 지방선거에서 정당 책임정치를 실현한다는 목적으로 도입됐으나 공천권을 쥔 국회의원에 대한 줄서기와 중앙정치 예속 등의 부작용을 낳고 있다. 당초, 선진국과 같이 무보수 명예직으로 출발한 게 변질되면서부터 예견된 것이고 의장단 선거후유증도 그 폐해의 일환이다. 때문에 고비용 저효율의 지방의회를 수술할 근본 대책이 시급하다. 지방의회 폐지 여부 등 구조도 근본적 재편방안을 공론화할 필요가 있다. 또 날이 갈수록 악취를 더하는 지방의회에 대해 사법당국은 진상을 파악, 책임을 물어야 한다. 의원들도 모든 기득권은 철저히 깨부수는 등 자정노력(自淨努力)에 앞서야 한다. 만시지탄(晩時之歎) 이라지만, 그 길이 추락하는 지방의회를 되살리고 신뢰를 회복하는 길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