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0 06:55 (토)
누가 교육을 백년대계라 하는가
누가 교육을 백년대계라 하는가
  • 송종복
  • 승인 2016.01.05 00: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송종복 문학박사(사학전공) (사)경남향토사연구회ㆍ회장
 우리나라 교육은 백년대계가 아니라 십년대계이다. 영국의 고든 브라운장관은 ‘금융허브 런던의 부활’이란 목표아래 재임 10년 동안 일관성 있는 정책으로 세계 2위의 일본을 따라 잡았다. 우리는 어떤가. 참여정부시절 5년간 6명의 교육부장관이 경질됐다. 소임을 맡은 교육수장은 과연 자신 있는 교육정책을 수립해 실천에 옮겼을까. 예로부터 교육은 百年之大計(백년지대계)라 했다. 그만큼 교육이란 장기적인 계획에 의해 이루어져야 한다. 정부가 수립된 1948년부터 오늘까지 67년간 교육정책이 8회나 바뀌었으니 백년대계가 아니라 십년대계도 되지 못한다.

 광복이후 대학입시 제도를 살펴보면 ①1945∼1953년 대학별 단독시험제, ②1954년 국가연합고사ㆍ본고사 병행제, ③1955∼1961년 대학별 유시험ㆍ무시험(내신제) 병행제, ④1962∼1963년 대학입학 국가자격고사제, ⑤1964∼1968년 대학별 단독시험제, ⑥1969∼1980년 대학입학 예비고사ㆍ본고사 병행제, ⑦1981∼1993년 대학입학 학력고사ㆍ내신제와 병행제, ⑧1994년∼대학수학 능력고사ㆍ내신제ㆍ본고사 병행제로 시행했다. 아마 독자는 자기의 대학입시 때를 이에 맞춰보면 이해가 갈 것이다. 인생에 있어서 교육정책 여하에 희생양이 된 독자가 많다고 본다.

 1945년부터 단독시험, 1954년부터 연합고사, 1955년부터 내신제, 1962년부터 국가고사, 1964년부터 또 단독시험, 1969년부터 예비고사, 1981년부터 학력고사, 1994년부터 수능고사를 치르고 있다. 지금은 어떤가. 수시모집이란 입맛으로 선발하는가 하면 사교육으로 무장된 특목고나 외국어고가 있다. 이들 특목고나 외국어고는 전문성은 어디가고, 일반 고등학생이 치루는 법대나 상대에 지원해 그 자리를 석권한다. 이렇듯 본연의 목적을 망각한 처사를 관계당국은 지켜만 보고 있을 것인가.

 따라서 교육은 백년대계가 아니라 백년흉계요, 바로 십년대계라 함이 옳다고 본다. 이로 보아 시대를 잘 맞춰 태어나야 나에게 맞는 교육이 된다는 것이다. 즉 자기의 실력이 아니라 교육계획에 의해 때가 맞아야 한다는 것이다. 어느 해는 실력으로, 어느 해는 추첨으로, 또 어느 해는 무시험으로 정책여하에 따라 입학이 결정된다. 역시 때가 맞으면 무시험으로 입학이 되고 때가 맞지 않으면 국가고사, 입학고사, 예비고사, 수능고사 등 첩첩중산을 넘어야 희망하는 대학에 논술이나 실기를 볼 수 있다. 도대체 교육대계가 실력의 잣대냐 인물(?)의 잣대냐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

 참여정부는 수능 9등급제를 실시했으며, 이명박 정부에서는 선택형 수능제도와 입학사정 관제를 확대했고, 박근혜 정부는 대입제도 간소화와 국사 수능필수화, 영어 절대 평가제를 도입했다. 대입제도는 정권이 바뀔 때 마다 길을 찾지 못하고 땜질 처방의 임시요법을 사용했고, 그 피해는 고스란히 학생과 학부모에게 전달됐다. 얼마 전 국사과목을 국정과목으로 정한다 하니, 당장 왈 정권이 바뀌면 어차피 검인정으로 또 올 것이라 했다. 앞으로 교육정책은 법률로 제정할 것이 아니라 헌법에 삽입해 국민투표로 붙여야 될 것으로 본다. 그렇지 않으면 교육망국이 될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