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2간지의 子時(밤12시)와 午時(낮12시)를 합해 子午線이라 한다. 본초자오선은 그리니치전문대를 기준하며, 나라마다 표준시가 있다. 우리나라는 3회나 바뀌었다.
항해시대에 육지는 ‘랜드마크’가 있지만 바다는 없어 항해에 어려움이 많았다. 남북의 구별은 별의 위치와 태양의 높이로 판단할 수 있으나, 茫茫大海에서는 동서쪽이 어디에 있는지 알 수가 없다. 그래서 위도와 경도가 생겼고, 1884년 10월 워싱턴에서 25개 국제회의에서 영국 ‘그리니치 천문대’를 지나는 자오선을 ‘본초자오선’으로 정했다. 이 선을 기준으로 왼쪽(서경)이 15?마다 1시간 느려지고, 오른쪽(동경)이 15?마다 1시간씩 빨라진다. 북한이 경도 127.5?로 한다면, 남한의 낮 9시에 북한은 낮 8시 30분이 된다. 따라서 노동력의 극대 활용과 전력량 감소에 이용하는 방편으로 본다.
북한은 광복 70주년을 맞아 표준시를 동경 127.5? 바꾼다. 남한은 동경 135?를 사용하고 있다. 북한이 변경할 경우 남한과 30분 시차가 발생한다. 북한은 국제적 교류가 적고 주둔한 외국군이 없어 가능할지 모르나 국제 교류가 활발한 남한은 시간대를 바꾸면 국제교류에 혼란이 초래된다.
또한 한ㆍ일간에 주둔한 미군의 작전상 시간대도 같아야 한다. 따라서 북한이 표준시를 변경하는 것은 미군이 주둔하는 한ㆍ일간의 군사적 시간차질을 의식한 것이 아닌가 본다. 반면에 남한은 경도 135?를 존속하는 것이 국가의 큰 이익이 된다고 본다.
저작권자 © 경남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