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3 20:35 (화)
언론의 슬픈 자화상
언론의 슬픈 자화상
  • 박재근 기자
  • 승인 2015.07.19 20:1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박재근 본사 전무이사
 최근 언론은 대중들에게 손가락질을 받고 있다. 말 따로, 글 따로, 행동 따로가 일반화돼 ‘기레기’(기자+쓰레기)로 표현되기도 했다. 이 시대 언론의 병폐를 지적당한 부분인 만큼 기자들은 제 갈 길을 가고 있는지 한 번쯤 깊게 고민해야 할 요즘이다. 특히, ‘행동 따로’는 기자실 운영에서 확 드러난다.

 정부 및 각급 기관이 취재편의 지원을 위해 기자실을 제공했지만 출입하는 기자들만의 ‘성지(聖地)’인양 자의적이다. 부산시청의 경우 경남에서 발행되는 일간지는 부산출입을 제한당하는 반면, 부산지역 신문인 부산일보 및 국제신문은 경남도에 출입한다.

 1961년 부산은 경남도에서 분리됐고 1983년 도청 창원이전 후, 현재까지 상황은 계속되고 있다. 이를 깨트리는 것은 경남 로컬지의 몫이다. 하지만 홍준표 경남지사가 상호주의에 입각, 이를 시정해야 한다며 꺼내 들었다는 점에서 이목(耳目)을 끈다.

 그 결과가 취재지원 문제까지 이어졌다. 경남도는 지난달 30일 부산시에 경남지역 언론사에 대해 부산지역 일간지 2개 신문사의 경남도 취재지원 등과 같은 동일한 취재지원 서비스를 해주기를 바란다는 공문을 보냈다. 이는 경남 언론사의 부산시청출입이 허용되지 않으면 부산지역 신문의 도청출입도 허용하지 않겠다는 것으로 이해된다.

 홍준표 경남지사는 언론과의 대척을 꺼려 상이(相異)함에도 넘어가려는 것과는 달리, 옳고 그름을 가리려 한다. 비판은 감수해도 비난성 기사는 간과하지 않는 언론관이 현 상태는 옳지 않다고 지적하고 있다. 이에 대해 경남도 관계자는 “지방자치 시대, 지역 언론들이 자기 지역 편들기 경향이 높아져 언론의 공정성과 객관성 문제도 논란인 것으로 알고 있다”며 “부산일보 및 국제신문은 중앙지도 경남의 일간지도 아닌 부산지역 일간지다”고 말했다.

 경남은 창원군 천가면 가덕도를, 금바다인 김해(金海ㆍ현재 부산 강서구)의 한쪽을 잃었다. 부산은 김해공항의 명칭도 지우려 했다. 신항과 관련된 문제는 소송으로, 신공항은 부산 아니면 ‘NO’다. 이 과정에서 부산지역 일간지의 보도형태도 옳지 않았다. 부산은 경남에서 분리된 후 이익에 우선했고 경남도민들의 염장을 지른 게 한두 번이 아니었다.

 아무튼, 부산시청 기자실 운영이 논란거리이지만 경남도를 비롯해 각급 기관의 기자실 운영도 참 묘하다. 기자실은 출입처로부터 주재공간과 각종 통신망 및 취재지원 등의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지만 운영주체는 기자들이다. 출입기자들은 카르텔을 형성, 타 언론사 출입을 허용하지 않으려 한다. ‘도청 프레스센터’로 운영되는 경남도의 경우, 같은 공간에 상주하면서 중앙지와 지방지로 구분해 운영되는 것도 모양새가 좋진 않다.

 어떤 곳은 화백제도와 같은 만장일치제여서 논란도 잦다. ‘기자실 운영 규약’이란 명분도 출입기자들끼리 입을 모은 것인데도 법인 것처럼 들이대는 낡은 관행도 문제다.

 현안브리핑의 경우 따지듯 취조에 버금갈 정도다. 하지만 정작 게재된 기사는 찾아보기 힘들 다는 공무원들의 지적도 있다. 이로 인해 서면브리핑이 대폭 늘었다. 또 부정적인 점을 부각시키려는 것도 문제다. 전체의 맥락보다는 한쪽으로 몰고 가려는 것이 간파당한 형태다. 성향에 따라 잘못을 눈감아주려 하거나 칼날을 들이대려는 등 자의적인 진영논리를 확대하려 하고 광고, 판매 확대에 안달하거나 홍보용 기사 썼다고 생색내는 등 각양각색이다. 기자실 존재 목적은 정보의 전달 외에도 정부의 독선을 막고 감시하기 위함인데 출입여부로 논쟁을 벌여서야 올곧은 언론을 기대할 수 있겠는가.

 과거와 달리 언론 환경은 확 바꼈다. SNS가 판을 치는 마당에 배타적, 폐쇄적 운영을 전통인 듯 이야기하고 타 언론을 타박하려는 것은 옳지 않다. 기자실 출입을 전매특허로 생각한다면 착각이다. 김두관 전 경남지사가 남해군수 때 기자실을 폐쇄한 이유가 무엇인지, 또 기자들은 제 갈 길을 똑바로 가고 있는지, 손가락질을 받지는 않는지 깊이 고민해야 할 때다.

 만약, 자성(自省)이 요구된다면 기자실의 문은 활짝 열려야 한다. 출입기자실이 출입금지기자실이 아니라면 말이다. 하지만 경남언론의 부산시청 출입은 제한하면서 부산지역 신문사의 경남도 출입은 옳지 않다. 언론기능은 보호돼야겠지만 엄밀히 따지면 부산지역 기자는 ‘경남 지방지’ 출입기자는 아니지 않은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