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9 10:33 (금)
경남교육의 수장이라면…
경남교육의 수장이라면…
  • 박재근 기자
  • 승인 2014.11.30 21:1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본사 전무이사 박재근
 교육은 미래의 희망을 담보한다. 교육을 통해 우리 사회의 미래를 이끌 인재(人才)를 일컬어 동량지재(棟梁之材)라 하지 않는가. 이를 통해 보다 행복하고 가치 있는 삶을 보내게 하도록 바람직한 인간을 형성토록 하는 게 교육이다. 그 교육의 현장인 경남교육을 책임지는 수장이 박종훈 교육감이다. 그는 진보의 배지를 단 성향과는 달리 조용한 스타일이다.

 하지만 ‘할 말은 다 한다’는 평이다. 할 말을 다한다는 것은 굳게 믿고 있는 바. 또는 생각하는 바에서 비롯된 소신(所信)이라 할 수 있겠지만 그 때문에 교육계는 다소 어수선한 것 같다.

 취임 후 첫 작품(?)인 인사에서부터 현재 진행 중인 급식문제 등에서 그렇다. 첫째, 인사는 경남도민들이 선택한 교육감이며 고유권한이라 코드인사라고 탓할 봐는 아니다.

 교육감이 추진해야 할 교육정책 개발 등에 힘을 쏟아야 한다는 것에서 그러하다. 하지만 지근거리에서 교육감을 보좌하는 측근 그룹을 두고 교육계는 벌써부터 ‘누가 실세이고 경남에는 교육감이 몇 명이다’ 등 교육청 십상시(十常侍)가 회자된다는 것은 옳지 않은 같다.

 인사를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만사(萬事)가 되기도, 망사(亡事)가 되기도 한다. 능력 있는 인재를 발굴, 적재적소에 앉히는 것은 지도자(교육감)의 역량이다. 전직 대통령 등 우리사회는 ‘인사가 만사’라는 경구를 잠시 망각한 결과치고는 그 대가를 너무 치렀다는 사실을 상기해봐야 한다. ‘전리품은 승리자’의 것이겠지만 인사의 경우, 대원칙인 공정성이 결여됐다면 설득력을 잃게 되고 그런 조직에는 미래가 없다. 또 개방형은 누굴 위해서란 여론도 있다. 눈여겨볼 일이다.

 둘째, 교육정책 문제다. 교육정책이란 경남교육의 미래와 경남의 미래를 담보할 좌표란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교육본질인 자아실현을 위해서겠지만 행복학교가 도마에 오른 것은 교육계의 동의가 쉽지 않다는 점이다. 물론, 지원학교가 넘쳤다지만 교육감의 정책에 편승하려는 것인지, 이해를 하고 동참하려는 것인지가 의문이란 게 교육현장의 소리다. 그 점에서 경남교육은 대변혁이 요구된다. 자아실현, 즉 잠재력 실현을 위한 교육도 중요하지만 성적순 또한 간과해서는 안 된다. 올해 부활된 고입연합고사를 내년부터 폐지한다는 것에 학부모는 물론, 교육계의 반발이 여간 아니다. 박 교육감은 연합고사 폐지가 공약이라지만 올해부터 연합고사를 치르게 된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된다. 그 원인은 전국 하위권인 성적에서 찾을 수 있다.

 지난 28일 교육부가 발표한 ‘2014년 국가 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 따르면 경남도내 중학교 3학년과 고등학교 2학년 학생의 ‘보통학력 이상’ 비율이 전국 17개 시ㆍ도 교육청 가운데 하위권으로 드러났다. 해당 학년별 국어ㆍ수학ㆍ영어 보통학력 이상 비율은 단 한 과목도 전국 10위권 안으로 들지 못했다. 특히, 영남지역의 부산ㆍ울산ㆍ경북은 보통학력 이상 비율이 전국 평균을 넘었지만, 경남은 모든 과목이 그 이하였다는 사실에서 답을 찾아야 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오랜 기간에 걸친 연구 결과, 추진키로 한 것이 ‘고입전형방법개선’이었다. 곧 고입연합고사 부활이다. 물론, 성향이 다른 전 교육감이 하위권인 성적 향상을 위해 추진했지만 고육지책(苦肉之策)이었다는 점을 간과하지 말라는 주문이다.

 셋째, 급식문제다. 할 말은 다하는 교육감이지만 학생급식을 위한 소통에는 다소 거리가 멀다는 지적이다. 급식문제와 관련, 도의원들의 힐난에 가까운 지적이 문제가 되기도 했다.

 하지만 경남도민의 대표인 도의원에게 이해를 구했는가의 여부다. 도의회 시정연설, 기자회견, 또는 페이스북을 통한 견해(見解)는 소통이 아닌, 여론전에 다소 치우쳤다는 지적이다.

 교육청은 감사의 적법성 여부에 앞서 지난 4년간 경남도민의 혈세 3천40억 원을 지원받았다. 학교마다 잔반처리비용이 증가, 급식의 질이 떨어진 방증으로 감사는 필수란 것이 도의 시군의 주장이다. 도가 감사거부로 인해 무상급식지원의 중단을 선언했지만 예비비로 편성, 추경을 통해 예산편성이 가능하도록 여지를 남겼지 않았는가. 따라서 교육청은 감사요구가 급식비 지원중단을 위한 핑계임이 드러났다는 주장에 앞서 불용액의 활용, 비정규직 문제 등 교육청 예산의 씀씀이도 줄여 자체예산을 한 푼이라도 더 확보하려는 성의도 중요하다. 특히, 학부모에게 진실을 알린다지만 ‘응원군이 돼 달라’는 서한문 발송보다 도와 도의회의 이해를 구하는 것을 우선해야 한다. 급식비를 지원하는 주체이기 때문에 결코 옹졸하게 비쳐지지 않는다.

 50년 전인 1964년, 박정희 대통령은 서독에 파견한 광부와 간호사를 담보로 ‘눈물의 차관’을 지원받았다. 그에 비할 바는 아니래도 미래의 동량인 학생을 위해서라면 ‘감사’를 담보로 한 예산확보도 한 방법이지 않은가. 무상급식이 교육청의 사무란 점에서, 또 급식도 교육이라면 그 수장은 재원마련에 발 벗고 나서는 게 급선무다. 소통과 성찰을 강조하는 말보다는 움직이지 않는 것을 움직이게 하는 것은 교육감의 행동, 책임지려는 자세에 달렸기 때문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