風:풍 - 바람, 水:수 - 물, 說:설 - 말하다
풍수란 장풍득수의 줄인 말로서 생명을 불러 넣는 땅을 찾는다는 것이다. 이같이 묘터와 집터를 봐주는 사람을 풍수가 또는 지관이라 한다.
풍수(風水)란 장풍득수(藏風得水)의 줄인 말로 `바람은 감싸주고 물을 얻는다`는 뜻이다. 즉 생명을 불어 넣는 지기(地氣:땅 기운)를 살피는 것이다. 그리고 지리(地理)란 땅의 모든 기운을 다스린다는 말이다. 바람과 물을 생활 속으로 끌어들여 산세(山勢), 지세(地勢), 수세(水勢) 등을 판단해, 인간의 길흉화복에 연결시켜 설명하는 사상을 풍수설 또는 풍수지리설이다. 이를 비유해 음양지리설, 풍수도참설, 음양도참설 등으로 부르기도 하며, 이를 연구하는 사람을 풍수가, 감여가, 지리가, 음양가, 지관이라 한다.
풍수설을 찬양한 책으로는 `삼국사기`의 궁예전(弓裔傳), `고려사`의 태조세가(太祖世家), 최자의 `삼도부(三都賦)`, 이중환의 `팔역지(八域志)`, 송나라 서긍(徐兢)의 `고려도경(高麗圖經)`, 명나라 동월의 `조선부(朝鮮賦)` 등이 있다. 반면에 이 설을 비판한 자는 송나라 장재(張載), 사마광(司馬光), 주희(朱熹) 등이다. 이 사상은 중국 전국시대 말기에 시작됐고, 한국에는 삼국시대에 중국 당나라에서 전래됐다.
고려의 태조가 된 왕건은 도선의 풍수설 덕분이다. 즉 부친인 왕융이 거처를 선택키 위해 풍수가 도선을 찾으니, 그가 말하기를 개성의 송악산 한 자락을 물색해 주고는 `이곳은 왕궁 터이니 후손이 왕위에 등극한다`고 했다. 따라서 왕건은 도선을 선각국사(先覺國師)로 모셔 훈요십조(訓要十條)를 받아 들였다. 조선 초의 문신 권근(權近)은 고려 때 서운관(書雲觀)에 전하던 비기(秘記)에 `구변진단지도(九變震檀之圖)` 중에 `나무를 세워 열매(아들)을 얻는다룒建木得子룓`는 설이 있었다고 하며, 목자(木子)는 이(李)씨를 파자한 것으로 역시 개국한다고 주장하였다.
미국인들은 풍수의 개념을 1990년대 중국인들에게 배웠기 때문에 중국어 발음인 `펑슈에이`(風水: Feng Shui)라고 말하며 상당수가 집과 사무실, 가구 등의 방향과 위치에 있어 풍수이론을 받아들이고 있다. 더구나 한국, 중국, 일본의 지형은 이러한 배산임수의 지형이 많아 풍수와 관련이 지어지고 또한 계절풍 기후조건과 밀접한 관계에 있어 자연히 풍수를 들먹이게 된다. 굳이 그렇다고는 볼 수 없지만 한국의 전 국토가 명당에 해당되는 금수강산이니 별의별 신경 쓸 필요가 없다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