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요묵향전시실] 서예가 이병도 씀

마음과 정신은 평안하고 안정적 상태를 유지하며 존귀한 임금을 대하듯 모든 정성을 다해 창작에 임한다면 잘되지 않을 수가 없다고 해 창작 할 때의 자세를 말하고 있다 .
이 작품은 금문의 필의를 살려 복구자비필고(伏久者飛必高) 개선자사독조(開先者謝獨早)로 채근담에서 발췌한 문구다.
오랜 엎드린 새는 반드시 높이 날고, 먼저 핀 꽃은 일찍 시든다. 이를 안다면 발을 헛디딜 근심은 면할 것이고 조급한 마음도 사라질 것이다.
세상을 살다보면 누구나 뜻하지 않게 실망스럽고 어려운 역경을 만나게 된다. 남들은 빨리 출세하고 앞서가는데 나는 왜 이렇게 더디고 초라하지 하면서 자신을 책망할 때가 있다. 하지만 이 작품의 교훈을 되새기며 마음의 짐을 훌훌 털어버리고 마음을 새롭게 하시길 바란다. 그렇지 않고 자꾸 자신을 원망하고 책망하기 시작하면 마음은 스스로 길 찾기를 포기하게 되고 결국 인생 자체를 엉망으로 만들게 될 뿐이기 때문이다.
혹시 일이 뜻대로 잘 풀어지지 않는다고 낙담하는 사람들이 있다면 걱정할 것 없다. 더 멀리 뛰고 더 높이 날기 위해 잠시 준비하고 있는 중이니 말이다.
우리 주변을 둘러보면 뒤늦게 성공한 사람들이 얼마든지 많이 찾아볼 수 있다. 그래서 죽기 전에는 어떤 사람도 앞일을 판단해서는 안 된다고 했는지도 모른다.
삶은 참으로 신비하고 묘하기 때문에 어떤 일이 발생할지 아무도 모르는 법이다. 우리의 꿈과 목표를 이루기 위해 우리는 지금 잔뜩 웅크리고 있는지도 모른다.
저작권자 © 경남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