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0 13:32 (토)
언론은 공정사회 지렛대인가 걸림돌인가
언론은 공정사회 지렛대인가 걸림돌인가
  • 박재근 기자
  • 승인 2010.09.12 20:3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박재근 칼럼 취재본부장

 공정한 사회가 화두다. 일각의 신중론은 `관습적으로 허용됐던 부분까지 인민재판식으로 몰고 가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하지만 공정한 사회는 결과의 평등이 아니다. 출발 과정에서의 기회 평등을 말한다. 잘못된 관습은 바로잡아야 한다.

 #1. 인식의 전환이 공정사회를 위한 출발점이다.   1978년 4월 "A 군청은 일용직 등 모든 계약직, 임시직에 대해 왜 공개채용을 않고 특정 인사들에 의한 추천(특혜)으로 취업시키는가"란 기사가 게재됐다. 군청 고위직급을 비롯한 지방 토호세력들이 그들 자녀만을 위한 잔치를 지적한 것이다. 당시 영남권 최대 발행부수인 K신문 햇병아리 박재근기자가 쓴 첫 기사다. 이 기사를 취급해준 데스크, 모 선배는 "박기자, 이거 통상적인 것 아닌가"고 되물었다. 군청도 "별스런 것도 다 쓴다"란 표정 이었다. 

 그 반향은 매우 컸다. 하지만 한통속은 기회 평등을 좋아하질 안는다. 출입처의 타 언론사 기자의 예사롭지 않은 눈길이 그것이다. 그 후 특채위원회가 구성되고 각계각층으로부터 추천을 받는 등 변화의 조짐이 일었다. 기자는 말이 아닌 행동, 즉 기사가 전부다.  

 #2. 기득권은 없다.

 MB가 주창한 공정한 사회가 개벽의 첫 단추인양 인사청문회를 거친 후 총리후보, 장관내정자들이 줄줄이 낙마한 후 숨 돌릴 겨를도 없이 외교부 장관 딸 특채파문으로 온통 시끄럽다. 중앙정부는 물론 지방자치제 후 지방권력 또한 특채파문이 꼬리를 물고 드러났고 현재도 진행형이다. 이 사회가 지연, 혈연, 학연에 우선한 잣대 속에 힘의 논리가 지배하는 양상이다. 기득권에 젖어 일탈을 모르는 지경이니 딱도 하다. 한자리 하는 그들만을 위한 특혜는 국민정서가 용납하지 않는다.

 언론은 어떤가. 자사이익에 우선, 책 팔고, 행사 때 협찬 받으려 하고 신문구독의 준 강요성 등 그 작태가 끝이 없다. 그러면서 출입처에서 감 놔라 배 놔라 잔소리가 많다. 언론을 사회의 목탁이라 한다. 하지만 목탁소리도 천차만별이다. 언론(기자)이 누굴 탓하기에 앞서, 제대로 된 목탁소리는 독자가 구분한다. 언론의 기득권, 권력화는 깨져야 한다. 그래야만 공정한 사회를 논할 수 있다.

 #3. 독점사회, 전부가 도둑인가.

 유대인들을 대규모 학살한 아우슈비츠 강제수용소장 루돌프 헤스, 그는 처형순간에도 자신의 잘못을 반성하지 않았다. 그가 남긴 수기 `헤스의 고백록`은 "고통스러웠지만 명령이었고, 직무였으므로 수행했을 뿐"이라는 것이다. 헤스는 자기 직무에 충실한 지식인이자 교양인이라지만 도덕성이 결여된 인물이었다. 삶의 궤적이 공직자 또는 사회지도층에게 남긴 교훈은 정치성향도 업무능력도 아닌 도덕성이란 덕목이 요구된다는 것이다.

 이명박 대통령은 `우리 사회는 권력과 이권을 같이한다고 하는 사람들이 아직 있는데 이것은 시대착오`라고 말했다. 지도층이 양손에 권력과 부를 함께 가져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권력의 독점적 폐해를 강조한 말이다. 여론의 방향타인 언론, 이를 기화로 독점적 권력을 행사하려한다. 그 폐해도 만만찮다. 5공화국 초기 한 TV드라마가 만들어낸 유행어가 있다. 친일파이자 땅 부자였던 주인공, 그는 이렇게 내뱉었다. `민나 도로보데스!(전부 도둑놈들이야)`. 지금 서민들의 심정이 꼭 이럴 것이다. 언론, 거듭나야 한다.

 #4. 독점적 지위가 우월적이어서는 안 된다.  

 "신분 상승의 기회를 박탈한 거다" 외교부장관 딸의 특채파동 후 일정부문 특채 등 고시제도의 변혁을 두고 한 말이다. 하지만 특채 그 자체가 간과되어서는 안 된다. 대(對)국민 서비스의 품질을 높일 수 있는 공무원 채용방안 개혁에 대한 대안, 고시출신이 고위공직을 장악함에 따라 생기는 문제를 어떻게 해결해야 하는지에 대한 실천적인 방안도 없다. 이번 사태를 계기로 고시 독점주의는 오히려 강화될 수도 있다. 공무원 사회에선 `공정사회` 개념에 어긋나는 일을 우려한다. 그 단적인 예가 경남도는 불과 몇 년 후 고시출신들이 고위직급을 싹쓸이하는 독점적 문제다. 그들은 군인, 경찰 등 타 기관과 달리 계급(직급)정년도 없다. 특채가 문제 있다 해서 행정고시가 정답은 아니다. 특정집단이 모두를 독차지하려는 사회는 안 된다. 그래서 본지는 공정사회를 위한 첫걸음으로 언론의 우월적 지위에 따른 폐해를 진단하려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