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0 10:50 (토)
죽었든 살았든 낙동강은 되살려야 한다
죽었든 살았든 낙동강은 되살려야 한다
  • 승인 2009.03.22 2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경남도 - 환경단체
엇갈린 진단 맞서
도민 혼돈 아랑곳
박재근
창원취재본부장
 남강댐 물 부산공급계획으로 파장을 겪은 후 이제는 낙동강을 두고 논란이 일고 있다. 이는 죽은 강을 살리자는 측과 살아 있는 강을 되레 죽일 수 있다는 주장이 맞선 때문이다.

 영남의 젖줄인 낙동강을 두고 개발과 보존이란 측면에서 누구 말이 맞는지 헷갈린다. 엇갈린 시각에서 비롯된 것일까. 경남도는 죽은 낙동강을 살려야 한다며 개발을 통한 관리 보존을, 환경단체 등은 낙동강은 살아 있다며 보존적 측면을 강조하고 있다.

 이런 논란에도 낙동강 등 정부의 4대강 살리기 사업이 본격화하고 있다. 동시에 이를 뒷받침하듯 그 갈래인 낙동강에 대한 ‘탐사’도 이어졌다. 그런데 한참 이상한일 일이 벌어졌다.

 경남도와 낙동강 수계 8개 지방자치단체, 환경단체는 등이 잇따라 현장을 둘러보고 낙동강에 대한 진단을 내놓았다. 낙동강을 탐사한 후 내놓는 결과물은 서로 간 극명하게 다른 판이다. 4대강 정비 사업이 ‘대운하냐 아니냐’를 놓고 벌인 평행선에 이어 이제는 낙동강의 실상을 바라보는 ‘시각’이 극명하게 갈리는 모습에 도민들은 어리둥절한 상황이다.

 탐사 후 도는 ‘낙동강 물이 이렇게 오염된 줄 몰랐다’, ‘퇴적물로 하상이 크게 낮아졌다’, ‘물길이 이어지지 않아 사막화 현상마저 빚다니’, ‘쓰레기마저 지천이 널려 있다니’ 등으로 환경정비의 필요성을 강조, 낙동강을 반드시 살려야 한다는 주장을 폈다.

 도 보건환경연구원도 낙동강의 수질등급은 예년의 경우 2~3급 수준이었으나 갈수기와 조류의 과다번식으로 오염돼 현재 BOD(생물학적 산소요구량)이 3ppm을 훨씬 넘어 3~4등급 수준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경남도는 4대강 살리기 사업에 대한 대운하 공방이 표면화한 지난해부터 경남도는 낙동강에 대해 죽은 강을 살려야 한다며 ‘사망선고’를 내렸다.

 김태호 지사는 지난해 초 낙동강 경남지역 구간 답사에 이어 지난 16일의 탐사 후 강 상태를 ‘최악’으로 평가했다. 이어 낙동강을 ‘홍수피해와 수량부족, 수질오염’ 등 재앙의 근원으로 표현하기도 했다. 이에 앞서 환경단체도 낙동강을 탐사했다. 주체는 환경단체 회원과 환경 전공 교수로 구성된 ‘생명의 강 연구단’. 부산 을숙도 낙동강 하구언에서 창원 본포나루터, 경북 고령군 고령교까지 탐사에 나섰다.

 그러나 그 결과는 딴판이었다. ‘낙동강은 살아있다’는 큼직한 글씨가 탐사보고서의 첫머리를 장식했다. 낙동강 대부분 구간이 좋은 하상과 수질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고 했다. 오히려 정부의 낙동강 현장조사 결과가 대부분 사실과 다르다고 지적해 ‘같은 강’에 대한 진단이 천양지차였다. 특히 낙동강 본포교~고령교까지 9개 지점에 대한 조사 결과 ‘양산천 합류부 및 낙동강 하구 둑 일부 구간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구간이 좋은 하상과 수질상태를 가지고 있다’는 진단까지 내렸다.

 경남도의 탐사는 4대강 살리기 마스터플랜 수립과 관련, 낙동강의 수질 수량, 생태환경, 주변의 토지이용 현황 등 실태를 조사하기 위한 것이다. 경남도는 이날 탐사와 함께 103건의 사업추진을 위해 총 10조 4430억 원이 소요되는 낙동강 경남구간 106㎞ 살리기 사업 기본계획안을 마련, 정부 마스트플랜에 반영시킨다는 계획을 밝혔다. 이를 두고 ‘생명의 강’연구단, 환경단체 등은 토목공사 식으로 벌이는 낙동강 살리기 사업은 살아 있는 강을 오히려 죽이는 결과를 초래한다고 경고했다.

 양 쪽은 낙동강의 어떤 모습과 상황을 인식하고 내린 진단일까. 이미 정해 놓은 답(答)을 찾으려했다면 기우일까. 이런 논란에도 우리는 죽었든, 살았든 영남의 젖줄인 낙동강은 반드시 되살려야 한다는 것이다. 낙동강을 되살리는 것은 우리 모두의 몫이기 때문이다.

박재근 창원취재본부장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