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6 03:57 (금)
골프와 공직사회
골프와 공직사회
  • 승인 2009.01.18 18:4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박재근
창원취재본부장
 골프의 대중화 맞는 말 입니까. 결코 ‘대중적(Public)’이 아닌데 대중적이라고 우기는 것, 이것이 바로 골프입니다.

 지금 경남에는 골프의 대중화 탓인지 주말이면 야단법석입니다. 그 한쪽의 주체가 각급 기관입니다.

 각급 단위 행정기관의 일부 수장 또는 상위직급, 주요보직 관계자들은 골프로 낙을 삼는다면 표현이 과한 것인지 되묻고 싶을 정도 입니다.

 최근 환율 급등으로 해외골프 바람이 잠잠해지면서 국내의 골프바람은 대단합니다. 또 가명으로 골프장을 누비는 작태는 가관입니다. 무엇 때문에 가명을 기재하는 가는 꼭 말하지 않아도 알 것입니다. 이를 두고 골프장출입도 실명제가 선행돼야 한다는 우스갯말도 그 이유가 있기 때문입니다.

 지난해 경남도의 인사를 앞두고 모 업체 관계자의 진정서로 인해 긴장감이 팽배, 골프광풍이 사라지는 듯 했는데 역시나 이었습니다. 문제는 골프는 운동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란 사실은 맞습니다.

 그러나 이로 인해 전 국무총리가 구설수에 오르고 국감 중 피감기관에서 골프행위 등 국회의원이 매스컴의 집중조명을 받고 지탄받은 것이 엊그제인데 또 다시 그 바람은 연속적으로 이어져 난리 통입니다.

 고위직급 인사는 해외나들이를 무척 즐기고 그 한편에는 꼭 골프로 인해 구설수에 오르기 십상이고 이로 인해 국민의 지탄을 받고 서민의 가슴을 멍들게 만든다는 사실입니다.

 최근 국회의원들의 해외골프파문을 비롯해 국세청장이 포항 유력인사들과 함께 한 골프회동도 눈길을 끌고 있습니다.

 경남도와 도내 시ㆍ군 공무원들도 업자로부터 접대성 골프를 즐기다 행정안전부 감찰에 적발되고 근무시간 골프연습장 출입이 들통 나 징계에 회부되는 등 골프로 인해 구설수에 휘말린 예는 부지기수입니다.

 이는 뭣 때문인가. 골프가 스포츠로서 공직사회에 자리 잡기보다는 접대의 한 방편으로 작용, 악어와 악어새 관계를 유지하고 사업상 편의를 제공받기 위한 것에서 비롯됐기 때문입니다. 골프가 좋은 운동인 것도 사실이고 자신의 능력으로 골프를 즐긴다면 누가 탓할 수 있습니까.

 전부는 아니지만 개인의 취미생활 비용을 다른 사람이 부담하는 ‘접대골프’를 당연시하는 풍조가 팽배하기 때문입니다. 주말이면 공짜골프를 즐기면서도 당연시하는 것도 그 직위에 따른 부수적 요인으로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한번 또는 두세 번 접대골프를 받으면 최소한 한번쯤은 자신의 돈으로 그린피와 캐디 피를 지불하는 양심적 엘리트 공직자가 극소수란 사실은 공직사회의 골프실태를 적나라하게 말해주고 있습니다. 도내에서 골프장이 많은 K시 등은 공무원이 우월적 지위를 누리며 골프를 즐긴다는 후문입니다.

 골프장 측의 이 같은 편의제공에는 업자 측을 배려하는 행정적 힘을 기대하기 위함에서 비롯됐다는 지적입니다.

 지난해 청와대 직원들에게 ‘골프 자제령’을 내렸다는 후문이다. 사실 ‘금지령’인 자제령은 느슨해질 수 있는 내부기강을 다잡기 위함이다.

 골프 자체가 나쁜 것은 아니지만 서민 경제가 어려운 상황에서 힘을 합쳐야 한다는 취지다. 민심과 괴리를 일으킬 일은 하지 않도록 조심하라는 의미,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처신을 주문한 것이다.

 서민경제가 어려운 점 등을 고려한 것을 이유로 한 자제령이지만 골프와 관련, 부적절한 문제가 끊임없이 이어지는 상황을 미리 차단하려는 뜻도 포함됐다.

 따라서 골프의 대중화를 두고 시비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부패와 유착은 ‘접대골프’ 등에서 비롯된 타협의 관행에서 싹이 튼다는 사실입니다. 골프란 놀이문화와 연계, 그 형태를 지적함은 공과 사를 구분하는 엘리트 공직자를 기대하는 것 때문입니다. 자신에게 엄격한 잣대를 들이대는 자세가 선행돼야 하는 공직자의 엘리트 정신을 기대합니다.

박재근 창원취재본부장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