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0 15:24 (토)
자고나면 또 축제 … 독창성 살려야
자고나면 또 축제 … 독창성 살려야
  • 승인 2008.10.30 19: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땀’으로 일궈낸 하동 코스모스 축제는 ‘대박’이 났다. 하동군의 한적한 산골 북천면 직원들이 봄부터 이룬 땀의 결실이다. 또 창녕군 남지읍 지역주민들이 겨울부터 가꾼 ‘유채축제’는 낙동강 변을 노랗게 물들인 봄의 화신으로 대박을 터뜨렸다.

문화관광부 지정축제로 선정된 진주 남강유등축제, 하동 야생녹차축제, 통영 한산대첩축제, 산청 한방축제, 김해 분청도자기축제 등 바로 이런 것이 축제다.

그런데 경남도내에는 가수 초청, 불꽃놀이, 먹을거리 장터 등 천편일률적 축제로 혈세가 줄줄 세고 있다. 짙은 가을을 맞아 도내는 물론, 전국은 축제로 들썩이고 있다. 붕어빵 축제는 국민혈세만 축낼 뿐 되레 지역민들의 원성을 살 뿐이다. 경제는 한치 앞도 불 수 없는 안개속인데 창원의 퍼레이드 축제는 20억원 가량이나 쏟아 붓는다고 원성이 잦다. 또 연중 몇 번에 걸친 가수 초청쇼는 시민위안의 장이 아니라 혈세낭비의 장이란 지적이다.

예산만 쏟아 붓는 축제는 이벤트일 뿐 그 가치를 인정받기는 어렵다. 또 도내에는 밀양 대추축제, 산청 감국축제가 올해 처음으로 개최되는 등 자고나면 축제가 생겨나는 판이다.

전국 지방자치단체가 10월에 열겠다고 정부에 보고한 문화관광축제만 300여개에 이른다.

문화체육관광부 집계를 보면, 1995년 350개 수준이던 지역의 문화관광축제는 민선 4기에 이르면서 올해 926개로 급증했다. 이 가운데 10억원 이상이 들어간 지역 축제도 24개다. 정부 통계에 잡히지 않는 축제까지 합하면, 마을 단위의 작은 축제를 제외하더라도, 전국적으로 3,000개는 될 것으로 관계자들은 추정하고 있다.

이처럼 축제 수가 또다시 늘어난 것은 자치단체의 경쟁력 없는 지역축제에 대한 통폐합이나 폐지 의지가 부족하고, 각 자치단체들이 특산품과 관광지를 홍보해 경제를 활성화시키겠다는 명분을 내걸고 억지로 축제를 만들어 내고 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일부 축제들은 정작 특색과 목적도 없이 자치단체장의 치적홍보용으로 전락하거나 관광객들의 외면으로 예산을 퍼붓고 있는 실정이다.

문화체육관광부 관계자는 “지역축제의 원형이라고 볼 수 있는 마을굿, 두레굿이 소멸하는 반면, 관이 주도해서 만들어지는 축제들의 수는 계속 늘어나는 추세”라고 밝혔다.

그러나 지역축제의 대부분은 지역성과 주민 참여를 살리지 못한 채 허우대만 부풀리고 있는 양상이 계속되고 있다.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이 전국 480개 지역축제를 표본 조사한 결과, 방문객 만족도가 낮은 축제가 63.1%로 나타난 반면, 만족도가 높은 축제는 5.8%에 불과했다.

정부는 지난 4월 “유사축제의 중복 개최, 공급자 중심의 축제 운영 등으로 지역축제가 지역주민과 관광객의 외면을 받고 예산낭비의 요소가 됐다”며 축제 관련 예산 차등 지원 등을 통해 통·폐합을 유도하겠다고 밝혔다. 한마디로 우후죽순처럼 양산되고 있는 축제로 통계조차 제대로 잡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축제는 그 지역이 겪은 정치·경제·사회·문화적 영향에 따라 다른 고장의 그것과 비교할 수 없는 특징이 있어야 한다.

따라서 지자체들은 생색내기식의 이벤트 만들기에만 몰두할 것이 아니라, 주민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할 수 있도록 지역의 문화 토양 조성에 힘을 써야 할 것이다.

겉으로는 공동체 의식 함양과 지역 이미지 제고, 지역경제 활성화 등을 목표로 하지만 그 속내는 단체장들의 치적 홍보나 득표를 겨냥한 민심잡기에 치중되고 있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경남도가 시·군별 지역특성 및 산업과 연계한 축제를 육성·발굴하고, 경쟁력 없는 축제를 통·폐합, 대표축제를 통한 관광인프라를 구축키로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도는 우수축제 4개, 육성축제 4개, 일반축제 12개 등 우수문화예술축제 20개를 선정, 독창성을 살려 관광자원화로 활성화 시킨다는 계획이다. 관 주도에서 탈피, 규모가 작아도 추억에 남고 신명나는 문화명품의 축제가 탄생, 외지인은 물론, 세계인이 찾는 축제를 기대한다.

박재근 창원취재본부장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