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0 01:29 (토)
심각한 노인문제 대책 수립해야
심각한 노인문제 대책 수립해야
  • 승인 2008.10.09 18:5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경남도내 태반의 지역은 ‘아이 울음소리는 들리지 않아도 노인들 한숨소리는 더하다’ 이는 한국도 고령화 사회에 진입한 것을 단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따라서 노인문제는 사회적인 현안이다.

그들이 누구인가? 젊은 시절 가족과 사회를 위한 희생으로 우리가 존재한다는 사실이다.

그들은 현재 사회와 가족들의 무관심속에 절망감에 사로잡혀 있다. 특히 홀몸인 노인은 더하다.

최근 경남도의 인구통계 결과, 도내 총 인구는 325만3,449명이다.

지난 6년간 인구는 2.6% 증가한 반면, 세대수는 그 5배가 넘는 14.0%나 증가, 핵가족화 현상이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들만의 삶이 핵가족화의 큰 몫을 차지한 통계다.

총 인구 중 유년층인구(0~14세)는 지난 2002년 기준 65만642명에서 2008년 6월 말 현재 58만4,356명으로 10.2%(6만6,286명)가 감소한 반면, 노인층인구는 28만5,782명에서 36만1,462명으로 26.5%(7만5,680명)나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저 출산으로 유년층 인구수는 감소하고 평균수명 연장 등의 사유로 노인층 인구수는 급속한 증가세인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결과다.

경남도내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36만1,462명으로 총 인구 대비 11.3%로 고령화 사회에 진입했다.

특히 통계청의 장래인구 추계에 따르면 2015년이면 고령 인구 비율이 14% 이상이 되어 고령화 사회에서 ‘고령사회’에 진입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인간의 평균수명은 짧고 출생률은 높아 총인구에서 노인이 차지하는 비중이 상대적으로 적었던 과거에는 노인문제가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지 않았다.

그런데 작금에는 평균 수명이 크게 늘어난 것에 비해 그 대책이 미흡하니 이들 노인들 문제의 심각함은 더하다.

전국 통계에 앞서 경남도내 시·군지역의 노인문제는 더욱 심각하다.

도내 20개 시·군 가운데 창원, 김해시를 제외한 18개 시·군 가운데 의령 등 9개 군이 초 고령 지역(총 인구 대비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율 20% 이상), 밀양시 등 3개 시·군이 고령 지역(14%~20% 미만), 통영 등 6개시가 고령화 지역(7%~14% 미만)으로 나타났다.

의령, 합천, 남해, 산청, 함양, 하동, 창녕, 고성, 거창 등은 초 고령 지역이다.

이 가운데 의지할 데 없는 홀몸노인이 상당수를 차지한다니 큰일이다.

어찌 되었든 과거 노인들에 대한 사회적인 평가는 무가치 한 것으로 여겨졌고 노인들 자신도 덤으로 사는 생으로 스스로를 비하한 것도 사실이다.

당시 노인문제는 가족 간의 문제일 뿐이었다. 노인문제를 가족 간의 문제로만 생각해 그대로 방치해서는 안 된다. 이제는 노인문제에 대해 적절한 대책이 시급한 상태다.

이런 가운데 경남도가 올해 노인들 여름폭염대책을 추진했고 겨울은 혹한기 대책을 추진한다니 그나마 다행이다.

노인들의 자살률이 세계 최고수준인 것은 자식을 배려, 자식의 지게에 올라 산으로 향하던 과거 고려장을 당한 부모님의 마음이 현대에 재현된 것일까?

자식을 위해 이 모든 것들을 기꺼이 받아들이는 그 부모의 마음을 헤아려야 한다.

최근 의학기술의 발달과 함께 식생활 개선 등 삶의 질 향상 등으로 수명의 연장, 출생률의 저하 등으로 전체 인구에서 노인인구의 비중은 날로 커지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고령화추세는 급속하게 진행, 2050년에는 세계 최고의 노인국가가 된다는 추계다.

노인문제, 의식전환에 걸 맞는 사회적인 제도보완이 시급하다. 실버산업도 개인에 맡겨지는 한 경제력이 없으면 결국 절망감과 허탈감으로 사지로 내몰릴 것이 뻔하다.

양로시설 확충, 노인일자리 창출, 경제적 지원 등과 질병대책 등 종합적인 노인복지대책이 정부차원에서 강도 높게 이뤄져야 할 것이다.

그들 현재의 모습이 곧 우리들 미래의 모습이며, 그들의 존재가 없었던들 우리도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박재근 창원취재본부장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